여야, ‘남북 군사회담’ 환영
- 北 진정성 의심 지적도
여야는 21일 정부가 북한의 남북 고위급 군사회담 개최 제안을 수용한 것에 대해 한 목소리로 환영했다.
한나라당 배은희 대변인은 논평에서 "우리 정부가 남북대화의 전제조건으로 제시해 온 천안함, 연평도 문제를 남북회담의 공식 의제가 된 것은 정부의 꾸준한 외교적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이라며 "이번 군사회담이 한반도 평화에 진일보한 첫 걸음을 내딛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배 대변인은 “하지만 북한이 남북대화의 전제조건으로 제시한 천안함·연평도 문제를 남북회담의 공식 의제로 제안된 것에 대한 진정성은 확인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만시지탄이나 강경책에서 대화로 돌아선 것을 평가한다"며 "이명박 대통령이 이 과정에서 민주당의 그간 주장을 고려했다고 생각하면서 대통령의 결단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전현희 원내대변인도 “남북간 긴장완화의 첫걸음을 뗐다는 의미에서 늦었지만 환영한다”고 말했다.
전 대변인은 그러나 “교착된 남북관계는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가이드라인’을 대한민국이 아닌 미국-중국에서 제시했고, 북한의 남북대화 제의를 해서 이명박 정부가 뒤늦게 받아들인 모양새가 되어버렸다”고 지적했다.
이어 “첫술에 배부르지 않다”며 “각종 회담의 진행을 포함해서 남북간 교류와 협력을 점진적으로 늘려나가면서 상호신뢰를 쌓아야 할 것”이라며 남북대화와 교류에 민주당도 적극 협력할 뜻임을 밝혔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은 "미중 정상회담이 끝나고 기다렸다는 듯이 북한이 대화를 제의한 것은 짜고치는 고스톱을 보는 듯하다"면서 "한국이 한반도 문제의 방관자 내지 희생물이 되지 않기 위해 이번 대화에서는 북한의 무력도발에 대한 책임과 재발방지에 대한 확실한 결과를 얻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통일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북한은 인민무력부장 김영춘 명의로 김관진 국방장관에게 보낸 전통문에서 군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남북고위급 군사회담을 개최하자고 제의했다고 밝혔다.
북측은 회담 의제로 '천안호 사건과 연평도 포격전에 대한 견해를 밝히고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상태를 해소할 데 대하여'로 할 것을 제의해 왔다. <칸투데이 강송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