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AI 전국확산에 축산업 사실상 고사위기
- 6개 광역시도 51개 시군 백신접종에도 아직 '빨간불'
지난해 안동에서 시작된 발생한 구제역이 전국으로 퍼져 6개 광역시도, 51개 시군에 백신접종이 이뤄지고 있으나 여전히 불안한 상황이다.
17일 방역당국과 축산업계에 따르면 이번 구제역 사태로 전국적으로 4,000여 축산농가의 소와 돼지 190만마리가 매몰처분 됐고 보상금-방역비용 등 재정 소요액은 1조5,000억원에 이르고 있는데 설상가상으로 조류인플루엔자(AI)까지 확산되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우선 이번 구제역 사태로 방역당국은 사실상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백신접종이란 초유의 대책을 내놨으나 최초발생 50일이 지난 현재도 큰 성과를 보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와중에 작년말 AI 의심신고가 들어온 충남 천안 및 전북 익산의 닭과 오리농장 등에선 고병원성 AI 확진판정이 내려졌는데, 최근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급속도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AI는 최초 발생한지 불과 2주만에 전남-전북-충남-경기 등 4개 광역시도 10개 시군까지 확산됐는데 모두 56건의 의심신고 중 26건이 양성인 것으로 판명이 났다.
매몰 또는 살처분된 닭과 오리 역시 350만두를 넘어선 것으로 파악되며 축산농가에 막대한 피해는 물론 앞으로도 천문학적인 비용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이에 대해 일각에선 초기 방역대책의 부재를 질타하는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는데 구제역이 최초 발생한 안동 농장주가 당시 신고했으나 간이검사에서 음성으로 나온 뒤 최종 확진판정이 내려질 때까지 다른 조치가 내려지지 않았다는 점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심지어 당국은 신고이후 이틀이나 지나서 시료채취에 나섰고 최종 확인이후 인근지역 돼지 2만여마리를 모두 살처분할 것이라고 밝혔으나 작업은 확진판정 뒤 3일 지나고서 완료됐다.
그동안 구제역 바이러스는 전국으로 확산되기에 이르렀는데 관계당국은 구제역 의심신고 접수 뒤 확진발표 전까지 이동을 통제하지 않아 사태를 크게 키웠던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한편 백신접종 결정 시기역시 따가운 여론의 비난에 직면하고 있는데 방역당국은 애초 백신접종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전국으로 확산되자 뒤늦게 결정했는데, 접종대상 역시 일부지역에 한정했다 방역망이 뚫리는 등 소극적 대책이 화를 불렀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