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형환 "당청갈등, 지나친 확대해석" 못박아
- "인사청문회서 가장 큰 문제는 야당의 정치공세"
안형환 한나라당 의원은 12일 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자 자진 사퇴를 두고 일각에서 당청갈등으로 분석하는 것과 관련, “지나친 확대해석”이라고 일축했다.
안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미화의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과의 인터뷰에서 “일부 절차상 매끄럽지 못했던 점이 갈등으로 비춰지고 국민들께 걱정을 끼쳐 드리게 돼 죄송하다”면서도 “하지만 이것을 권력투쟁이나 당청갈등으로 몰고 가는 것은 지나친 확대해석”이라고 못박았다.
그는 “사전 조율과 충분한 교감이 이루어졌다면 좋았겠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았고, 당시에는 오해가 있었을지 모르겠지만 지금으로서는 상당수 오해가 다 풀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청관계가 성공적인 국정운영을 위해서는 상호 긴밀한 협조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비판과 견제도 적절히 이루어져야하는 것이 나라와 국민을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청와대 인사 검증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청와대가 나름대로 인사 검증 시스템을 마련해 열심히 하고 있지만, 검증 과정이라는 것이 100% 확실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뜻하지 않은 부분에서 후보자 본인도 모르는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가장 큰 문제점은 야당의 정치 공세”라며 “청와대에서 개각 후 후보자를 발표하면 야당은 청문회 시작 전부터 인신공격이나 흠집내기로 후보자의 도덕성에 치명상을 주고 여론몰이를 하다보니 이런 상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청문회에서 의혹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후보자 본인에게 그에 대한 해명을 주는 절차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며 “명확하지 않은 근거와 공격으로 청문회 전부터 부도덕한 인물로 낙인찍고, 더 심한 경우 후보자 본인을 넘어 후보자의 가족들까지 사회적으로 매장시킬 정도로 여론몰이를 해 나가는 것은 매우 잘못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안 의원은 또한 정 후보자가 기자회견에서 불편한 심정을 토로한 것과 관련, “정 후보자로서는 한나라당이 야당의 정치공세에 대해 방어를 해주지 못했다고 억울해 하는 면도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이명박 정부의 미래까지 바라봐야 하는 당으로서는 큰 틀에서 이러한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었음을 이해해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을 계기로 당으로서는 청와대나 정부에 국민과 여론을 좀 더 적극적으로 대변할 수 있는 역할을 강화, 당청관계에 있어 대화의 채널이 다양화되고 교감도 활발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프런티어타임스 최정숙 정치부차장 frontier1@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