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두언 "누구나 다 얘기하는 복지, 무책임하다"
- "복지라는 것 누가 싫겠느냐. 돈 따르는 것이 문제지"
최근 여야를 막론하고 복지혜택 확대 및 강화가 화두로 제시된 가운데 한나라당 정두언 최고위원이 무책임한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 정두언 최고위원은 7일 BBS ‘전경윤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복지를 누구나 다 얘기하는 것은 무책임한 측면이 있다”면서 “복지라는 것을 누가 싫다고 하겠느냐. 다만 돈이 따르는 것이 문제”란 입장을 강조해 재정확보 방안이 마련되지 못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정 최고위원은 정권 재창출 문제에 대해 “여러 가지 일들이 벌어진다. 정치적 보복이 나오는 등 한두 번 본 일이 아니지 않는가”라면서 “5년마다 반복된 일들”이라고 운을 뗐다.
그는 이어 “보복성 조치라고 주장하며 공방이 벌어지는 일들이 노태우 정부 때부터 지금까지 매번 나오지 않았느냐”면서 정권교체 때마다 반복되는 정치보복을 막기 위해선 권력분산차원의 개헌을 비롯한 정치제도의 대대적 개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우회적으로 피력했다.
아울러 그는 박근혜 전 대표의 대규모 싱크탱크 출범과 빨라지는 주자들의 행보와 관련해 대권 조기 과열이 우려된다고 말했으나, 현 제도에선 불가피한 면이 있음을 인정키도 했다.
실제로 정 최고위원은 “대권주자들이 활발하게 움직이기 시작하면 거기에 따라 각자 추종하는 집단들이 나오는데 그 것은 한 마디로 분열”이라고 전제, “(일정부분) 불가피하지만 그것을 우리가 적절히 승화시켜 적절히 경쟁시키면 국민들의 관심도 끌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당 안팎에서 안상수 대표체제에 대한 불안감 확산으로 조기 전당대회 개최론이 고개를 들고 있는 것에 대해선 “솔직히 한나라당에서 현 체제에 대한 대안이 없다”면서 “대안이 없는 상황이라는 것도 한나라당의 현 주소”라면서 고민이 깊다는 점을 돌려서 언급키도 했다.
한편 그는 장하준 교수 초청 토론회 개최에 대해 “지금까지 우리가 걸어온 길이 잘못됐다면 고쳐야 되지 않겠느냐”면서 “불편하지만 진실이라면, 받아들여야 한다”는 속내를 내비쳤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