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1-01-05 22:31:17
기사수정
정치권의 화두로 '개헌'이 떠오른 가운데 자유선진당 이회창 대표가 개헌논의와 관련, 입장을 선회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가 지난 3일 새해 인사차 이 대표를 예방한 자리에서 두 대표는 개헌논의에 합의했다.

이날 이 대표는 "개헌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며 "21세기형 국가구조를 담는 개헌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운을 뗀 뒤 "앞으로 개헌 논의에 있어 이런 비전과 원칙을 지키고 구체적인 아젠다에 참여해 논의할 것"이라며 개헌론을 꺼내 들었다.

안 대표는 이에 "현재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가 심각하다. 권력의 집중을 막아야 한다"며 "새해에는 개헌이 논의돼야 한다"고 맞장구를 쳤다.

이후 여야 모두 개헌론을 놓고 갑론을박이 한창이다. 특히 한나라당은 5일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친이,친박계로 나뉘어 개헌론에 대해 상반된 견해차를 보여줬다.

먼저 포문을 연 친박계 이경재 의원이 "이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개헌의 '개'자도 말을 안했다."며 "이는 개헌과 같은 국론분열의 정치를 만드는 것을 피하자는 뜻으로 해석한다"고 하자 친이계 정의화 국회부의장은 "상생의 정치로 바꾸는 해결책의 하나인 권력구조 개편을 위한 개헌도 생각해봐야 한다"고 반론을 폈다.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이 같은 상황을 미리 예상한 듯 4일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한나라당은 개헌과 관련해 청와대와 친이, 친박계 모두 다르다. 통일된 안이 없다"며 "한나라당 내부에서도 정리되지 않는 개헌안을 갖고 야당에게 무엇을 이야기하자는 것이냐"며 개헌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을 말했다.

이런 가운데 '친이계發' 개헌의 성사여부와 관계없이 캐스팅보트를 쥐고 있는 이 대표의 개헌의지를 두고 해석이 분분하다.

사실 이 대표는 안 대표와 이재오 특임장관 등이 주장하는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론에 대해 "정략적 이해관계가 동기인 것처럼 보인다"며 부정적이었다.

그는 지난해 12월 10일 "개헌론의 필요성이 인정된다고 해도 이런 시점에서의 개헌론 제기는 적절하지도, 현명하지도 못하다"며 "정국의 국면전환을 위한 개헌론은 진정성도 없고 국민을 설득할 수도 없다"고 했다.

또한 이와 관련, 이 대표는 지난해 11월 15일 한 인터뷰에서 안 대표가 선진당과의 정치연대를 언급한 것에 대해 "불쾌하다. 충청권을 대선 때 필요하면 와서 표 뜯어가는 곳으로 알고 있다"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기도 했다.

이러한 이 대표가 새해 들어 안 대표와의 만남에서 '친이계發' 개헌론에 대해 적극 공감을 표하자 여권 일각에선 그의 달라진 행보를 차기대권과 연관짓는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유력 정치인은 "현재 선진당의 세력으로는 차기정권을 넘 볼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한 뒤 "이 대표가 총선을 넘어 대권의지를 품고 개헌론에 공감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친이계 주자 중 박근혜 전 대표의 대항마가 마땅치 않은 것도 작용하는 것 같다"고 했다.

이와 같은 발언은 이 대표가 독자적으로 차기정권을 획득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만큼 외치·내치를 구분해 권력을 양분하는 '친이계發'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론을 매개로 권력의 한축을 점해 대권을 획득하려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또 다른 말로는 30%대의 높은 지지율을 보이고 있는 여권내 유력 차기주자인 박근혜 전 대표에 맞설 친이계 주자들의 지지율이 미미한 상황에서 이 대표와 친이계가 공동으로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을 성사시킨 뒤 권력을 분할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한편, 이 대표는 오는 6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개헌론을 중점적으로 얘기한다는 전언이다.

<프런티어타임스 이민기 기자 mkpeace21@frontiertimes.co.kr>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970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