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0-12-03 09:29:42
기사수정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에 대한 군사적 대응차원으로 실시한 한미연합군사훈련이 1일 종료된 가운데 정부의 향후 대북정책 방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앞서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대국민 담화에서 "더 이상의 인내와 관용은 더 큰 도발만을 키운다는 것을 우리 국민은 분명히 알게 됐다"며 "협박에 못 이긴 '굴욕적 평화'는 결국 더 큰 화를 불러온다는 것이 역사의 교훈"이라며 대북 강경 드라이브를 시사했다.

이런 가운데 여야 대표는 대북 압박카드의 핵심 중 하나인 개성공단 존폐 여부에 대해 일단 존속시키자는 입장을 밝혔다.

먼저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는 지난달 29일 방송기자 초청 토론회에서 개성공단은 한반도 평화를 지향하는 상징적 공간이라고 언급한 뒤 "지금은 철수보다는 추이를 지켜봐야 할 때"라고 말했다.

다음날 민주당 손학규 대표 역시 같은 자리에서 "개성공단 사정이 아무리 어렵더라도 막아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정치권 일각과 보수시민단체들은 한미연합군사훈련이 끝난 직후 북한이 '경기도 포격' 가능성을 흘리고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대북 강경책으로 북한을 압박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 2일자 일본 도쿄신문은 북한 인민무력부 정찰총국의 한 간부가 "새해가 오기 전, 경기도를 목표로 새로운 포격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한나라당 정몽준 전 대표는 지난달 24일 자신의 홈페이지를 통해 "우리 국민을 적지에 인질로 남겨둔 상황에선 어떠한 단호한 행동도 할 수 없다"며 개성공단과 금강산 지역의 우리 국민을 철수시키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여기에 더해 한 보수시민단체 관계자도 "좌파정권에서 만든 개성공단에 얽메일 필요가 없다"면서 "북한이 이번 연평도 도발 당시 민가를 겨냥해 포격을 가했다. 이런 마당에 무슨 평화 운운인가"라고 했다.

이에 대해 여권 관계자는 "여러 의견이 나오고 있지만 이 대통령이 대북 강경모드를 시사했고 국민적 분위기가 대북규탄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는 상황임을 감안할 때 개성공단 폐쇄 가능성을 점친다"고 예상했다.

한편, 북한의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연평도 포격 불과 하루 뒤인 지난 24일 "남조선 당국이 진정 남북관계 개선에 관심이 있다면 금강산 관광재개를 위한 테이블에 나와야 한다"고 말해 빈축을 샀다.

<프런티어타임스 이민기 기자 mkpeace21@frontiertimes.co.kr>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935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