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0-11-21 20:58:08
기사수정
증권시장에 옵션만기 매물폭탄이 쏟아져 부당이득 논란이 일고 있는데 대해 금융당국이 시세조작을 염두에 두고 본격 조사에 착수했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과 한국거래소(KRX)는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감안해 외국 금융당국과의 공조방침을 세운 뒤 외국계 자금의 시세조종 여부를 규명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지난 11일 도이치 증권창구를 통해 쏟아진 2조원의 매물폭탄이 국내증시에 큰 파장을 야기한 만큼 해당 역외자금이 시세조종을 통해 부당이득을 취했는지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실제로 금감원은 특별조사팀 전문가 4명을 투입, 거래소와 공동 조사를 벌여 당일 대량 매도주문-풋옵션 매수 등 거래내역에 대한 1차 스크린작업을 거쳐 정밀분석에 착수한 상태다.

이와 관련, 금감원 관계자는 “통상 불공정거래 혐의사건에 대한 조사는 1-2명이 담당하게 되지만 이번엔 4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사고 발생직후 즉각적인 조사에 착수했다”면서 “필요할 경우에는 외국 금융당국과 공조해서 조사를 전개할 계획”이라고 언급, 눈길을 끌었다.

우선 금감원은 옵션만기일 장막바지 수분 내 외국계 대량 현물매도에 이어 코스피 지수가 53포인트나 폭락하고 외국인의 풋옵션 매수가 이어진 일련의 액션이 부당수익을 확보할 목적으로 단일주체 또는 복수의 펀드가 시세조종을 시도했는지 조사의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

또한 이 과정에 치밀한 계획을 세우고 현물-선물간 연계거래를 위한 정보유출을 통한 선행 매매나 통정매매 등과 같은 불공정 거래기법들이 동원됐을 가능성 역시 주목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KRX도 현재 도이치증권 한국지점에서 당일 거래내역을 기록한 파일을 입수, 심리에 들어갔는데 전문가들은 오는 12월말까지는 어느 정도의 윤곽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대해 KRX 관계자는 “현물을 매도하겠다는 정보를 이용, 풋옵션을 매수했는지 현물-선물 간 연계거래가 있는지가 관건”이며 “불공정거래 혐의계좌를 추적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금융계 일각에선 이번 시세조종 의혹이 제기된 대상이 유럽계 기관투자자나 외국인이라 이들이 조사를 거부커나 혐의를 포착하기 어려운 상황이 올 것이란 우려를 내놓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 금감원은 혐의입증에 자신감을 피력하고 있는데 한 관계자는 “이번 사태와 관련된 외국계가 조사에 협조적이다”라면서 “불공정거래 여부에 대해서는 나중에 판단할 문제지만 (구체적인 거래경위 등에 대한) 사실확인은 충분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사태와 관련, 금융위와 금감원은 동시호가 주문신고 위반 등 거래소 규정위반이나 옵션거래시 증권사의 증거금 규정위반이 드러나면 해당기관에 대한 제재가 이뤄진다며 별도로 거래규제 등과 관련해선 추후 본격적인 제도개선에 나설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922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