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금융당국 "현대건설 인수자금 재검토"
- 현대그룹 '1조2천억원' 의혹에 "자금성격 확실해야"
현대그룹의 현대건설 인수자금과 관련, 해외계좌 예치금이 논란을 야기하고 있는 가운데 채권단과 금융당국이 자금조달 내역을 재검토할 방침이다.
19일 재계와 금융권에 따르면 현대그룹이 인수자금 중 1조2,000억원을 프랑스 현지은행에 현대상선의 명의로 예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자금성격에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채권단 관계자는 “현대그룹의 현대건설 인수자금 성격에 대해 법리적인 해석을 비롯해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있다”며 “일각에서 제기된 자금의 성격에 문제가 없는지 등을 살펴보는 동시에 향후 절차와 일정까지 포함해 모두 다시 검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 역시 “현대그룹 자금의 성격을 확실하게 파악해야 한다”며 “현대그룹의 현대건설 인수는 어떤 식으로든 투명한 자금으로 인수한다는 것이 전제조건”이라고 말했다.
앞서 현대그룹은 현대건설 인수대금 5조5,100억원 가운데 1조2,000억원을 프랑스 나티시스은행 예치금으로 조달할 것이라고 했는데, 해당예금은 현대상선 프랑스 현지법인 명의로 예치돼있는데 총자산 33억원의 현대상선이 거액을 보유하고 있는 점에서 의혹이 일고 있다.
더욱이 현대그룹은 현대상선 실적악화로 채권단과 재무구조개선약정(MOU) 체결대상까지 거론될 정도였는데 현대상선이 거액을 해외 예치하고 있다는 것은 납득이 곤란한 대목이다.
상황이 이쯤 되자 채권단도 심사당시 해당자금을 자기자본으로 인정할지 토론을 벌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자기자본 또는 타인자본 여부에 따라 평점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채권단 관계자는 “당초 평가기준을 작성할 때 보유현금에 대해 잔액 증명서 등을 제출하면 자기자본으로 인정토록 했다”고 언급하면서 “24명의 심사단 역시 잔액 증명서의 진위여부 등을 파악한 뒤 자기자본이 맞는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번 논란과 관련해 현대그룹은 “현대상선 프랑스 법인계좌가 맞으며 정당하고 적법한 자금”이라고 전제한 다음 “현대건설 채권단 역시 이를 확인하고 결론을 낸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일각에선 당초 현대차그룹에 유리했던 현대건설 인수전이 현대그룹의 승리로 끝난 배경엔 재계나 정관계 거물이 개입했을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데, 현대그룹 옛 경영진 출신으로 자금 동원력을 갖춘 모 인사가 모종의 역할을 하지 않았느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