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 친박-민주공조?…新세종시법 부결 때와 유사
- 친박-민주 개헌반대 고리로 친이계와 표대결 전망돼
"오해가 증폭될 수 있기 때문에 답변은 적절하지 않다. 어쨌든 정략이 개재된 개헌은 성공하기 어렵다"
한나라당 친박계 중진 허태열 의원은 지난 16일 한 라디오 방송에서 "개헌논의가 시작되면 친박 의원들이 민주당하고 연합할 가능성이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여당내 친이계가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추진에 나선 가운데 친박계와 민주당이 개헌반대를 고리로 연대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가 흘러나오는 것은 차기대선에서 여야 유력 대선주자로 꼽히는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와 민주당 손학규 대표가 나란히 친이계 '안'이 아닌 4년 중임 대통령제를 선호 하면서 개헌은 차기정권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공통된 입장을 보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더해 지난 세종시 수정안 정국에서 친박계와 민주당이 연대한 적은 없으나 결과적으로 친이계에 맞서 양측 모두 반대표를 던져 수정안을 부결시켰던 장면도 맞물리고 있다.
어쨌든 먼저 박 전 대표는 최근 개헌에 대한 입장을 밝힌 적은 없지만 과거 당 대표 시절 "4년 중임 대통령제가 좋은 개헌 방안"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친박계 김선동 의원은 지난달 20일 "박 전 대표의 개헌 방안에 대한 입장은 여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 대표도 지난달 26일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4년 중임 대통령제에 찬성한다"면서도 "개헌은 차기 정권에서 논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또 "4년 중임제가 바람직하다는 것은 정치학자로서 오랜 지론"이라고도 덧붙였다.
따라서 정가 일각에선 이 같은 상황에 비춰볼 때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와 이재오 특임장관 등이 적극 주장하는 '친이계發' 분권형 대통령제로 개헌추진이 밀어 붙여질 경우 친박계와 민주당이 개헌반대 세력을 구축, 맞설 수도 있다는 관측을 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시사평론가는 "세종시 수정안 부결에 답이 있다. 친이계가 친박계의 동의 없이 개헌을 무리하게 추진하면 또다시 발목을 잡힐 수 있다"고 경고했다.
G20 정상회의가 끝난 직후 불거진 '뜨거운 감자' 개헌 문제가 어떻게 풀려나갈지 점차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프런티어타임스 이민기 정치부 기자 mkpeace21@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