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궁내청이 소장한 우리 문화재 1205종을 반환하기로 결정했다.
문화재 반환을 통해 강제병합 100년에 대한 사과와 반성의 뜻을 전하고자 하는 일본 정부의 결정을 환영한다. 비록 반환형식에는 아쉬움이 있지만 말이다.
또 ‘제실도서’ 책과 조선시대 경연(經筵)이 반환되지 못한 점도 애석한 대목이다.
이번 문화재 반환은 겨우 시작일 뿐이다.
일본이 강탈해갔지만 민간이 소유한 문화재는 이번 반환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일본에 있는 한국문화재는 우리 문화재청이 파악한 것만 해도 6만 여점.일본인이 개인적으로 소장한 우리 문화재까지 합하면 무려 30만 점이 넘는다.
이들 중 상당수가 임진왜란이후 일제 강점기간에 불법으로 수집, 유출된 것이다.
이번 조선왕실의궤 반환을 계기로 약탈 문화재를 적극적으로 반환받아야 한다.
일본은 지난 1965년 한일협정 당시에 반화하기로 약속했던 4,479점 가운데 겨우 1,432점만 반환했다.
그런데도 정부는 그동안 문화재 반환에 매우 소극적이었다.
오히려 민간단체들이 앞장서서 북관대첩이 함경도로 제자리를 찾아갔을 뿐이다.
이제는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
일본에 있는 우리 문화재가 어떤 것들이 있으며, 이들 문화재가 어떤 경로로 유출되었고, 누구 손을 거쳐 지금 그 자리에 있는지를 추적하고 연구해야 한다.
귀중한 문화유산을 잘 간직해 우리 후손들에게 물려줘야할 책무가 우리에게 있음을 정부는 깊이 새겨야 한다.
2010. 11. 9. 자유선진당 대변인 박 선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