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현판 균열' 우리나라 육송의 일반적특성
- 뒷 마무리 꼼꼼하게 처리못한 궁색한 변명
문화재청은 3일 “광화문 현판이 복원 3개월 만에 심하게 손상되었다.” 라는 언론 보도와 관련해서 그 원인이 우리나라 육송의 특성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문화재청 궁능과는 해명보도 자료에서 광화문 현판에 사용된 목재는 우리나라 고유수종인 육송으로서 재료의 특성상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고 있으며, 특히 가을철 건조한 날씨에는 건조 수축으로 인해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이러한 우리나라 육송의 성질로 인해 당초 현판 목재를 외래수종으로 하자는 일부 의견도 있었으나, 조선 제일의 법궁인 광화문의 현판을 외래수종으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자문위원들의 자문결과에 따라 육송을 사용하게 된 것이라고 과정을 설명했다.
이에 덧붙여서 육송으로 제작된 현판의 미세 균열은 육송의 특성상 일반적인 현상으로 기존 설치되어 있는 덕수궁의 현판인 「대한문」 현판에도 열두 줄의 세로로 난 균열이 발견되고 있으며 콘크리트 광화문에 걸려 있던 1968년 박정희 전 대통령이 쓴 한글현판에도 수많은 세로의 균열이 발견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같은 현판의 미세한 균열은 톱밥 및 아교 등으로 틈새 메우기를 시공한 후 단청을 보완하는 것이 전통기법인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이에 따라 문화재청에서는 관계전문가 긴급 자문회의를 거쳐 보완할 계획이라고 문화재청 궁능관리과 김원기 과장은 말했다.
한편, 우리나라 육송의 특성을 사전에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뒤 처리를 꼼꼼하게 처리하지 못해 3개월만에 손상된 흉한 모습을 국민들에게 보여주게 된것에 대해 위와같은 문화재청의 설명은 궁색하게 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