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0-10-31 18:45:39
기사수정
남북적십자회담이 남북의 입장차만 확인한 채 성과 없이 끝난 것과 관련, 자유선진당과 민주당이 서로 다른 반응을 보였다.

자유선진당은 회담결과에 대해 북한의 책임론을 펼친 반면, 민주당은 북한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은 채 인도적 지원과 이명박 정부의 대북강경 기조를 전환할 것을 촉구했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은 28일 논평을 내고 “남북적십자회담이 북한의 어처구니없는 대규모 지원과 금강산 관광재개 요구로 성과 없이 끝났다”며 “북한은 사과도 하지 않으면서 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등으로 우리를 압박했다. 뻔뻔하다”고 질타했다.

박 대변인은 “북한 대표단은 마음 졸이며 협상결과를 고대하던 이산가족과 국군포로, 납북자 가족의 한 많은 가슴에 또다시 돌을 던졌다”며 “이산가족상봉 정례화와 북한이 요구하는 쌀, 비료지원, 금강산 관광재개는 전혀 별개의 문제다. 인도주의 현안은 결코 흥정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그는 “게다가 북한은 이 지원물품으로 김정은 후계체제를 공고히 하고, 대북지원을 둘러싼 ‘남남갈등’을 일으켜 우리 사회를 혼란에 빠뜨리려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뻔뻔하기 짝이 없는 북한에게 확실하고도 분명한 원칙을 유지해야 한다”며 “북한이 원하는 대규모 지원과 금강산 관광재개는 분배의 투명성이 보장돼야 가능하고, 천안함 사태에 대한 사과와 금강산 관광객 피격사건에 대한 진상규명 및 재발방지, 신변안전 보장 등 ‘4대 선결과제’가 충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아무런 성과도 거두지 못한 책임은 분명 북한에 있지만 이산가족상봉 정례화를 실현해야 할 우리의 책임도 결코 가볍지는 않다”며 “정부의 확고하고도 분명한 대북 입장표명과 설득력 있는 협상력이 못내 아쉽다”고 말했다.

이에 반해 민주당은 이날 비공개회의 브리핑을 통해 “남북적십자회담이 사실상 빈손으로 종료가 됐다”며 “이번 회담에서 이산가족상봉 정례화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인도적 차원의 남북경제협력이 논의돼야 하고, 군사차원의 문제는 분리해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남북적십자회담이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남북 당국 간의 회담 개최가 필요하다”며 “MB정부는 이산가족상봉의 정례화와 쌀 비료지원, 그리고 금강산 관광재개 문제를 패키지로 해결하기 위해 남북 고위급 회담을 즉시 제안하고 개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명박 정부가 인도적 차원의 문제까지도 대북강경 기조를 여태까지처럼 고집한다면 남북관계의 개선은 앞으로 이 정권하에서는 매우 어려울 것”이라며 “이산가족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해 이 정부의 유연한 남북관계의 태도변화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26일과 27일 양일간 개성 자남산여관에서 열린 남북적십자회담은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조건으로 북한이 쌀 50만톤과 비료 30만톤 지원 등을 요구해 성과 없이 종료됐다.

다만 남북은 다음달 25일 적십자회담을 다시 열어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인도적 지원, 국군포로, 납북자 문제 등을 논의하기로 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최정숙 정치부차장 frontier1@frontiertimes.co.kr>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897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