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0-10-31 18:13:56
기사수정
최근 정치권 최대화두로 급부상한 개헌론에 대해 차기 유력 대권주자인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침묵하고 있어 궁금증을 더하고 있다.

31일 정치권에 따르면 우선 여권 주류측인 이재오 특임장관과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 김무성 원내대표가 개헌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으며, 차기 대권주자군에 포함되는 오세훈 서울시장도 개헌 공론화에선 주류측 입장에 상당부분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반면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앞서 관훈클럽 토론회에서 “4년 중임제르 선호하지만 개헌은 차기정권에서나 해야 한다”고 반대론을 못 박았고 실질적인 범친이계 대권주자로 거론되는 김문수 경기지사도 논의의 필요성은 인정하나 실현 가능성에 회의적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 와중에 정치권에선 내달 12일 G-20 서울 정상회의가 마무리되는 대로 개헌논의가 본격화돼 올 연말까지 국회 개헌특위가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여야를 막론하고 차기 대권주자 선두를 지키고 있는 박 전 대표는 다른 잠룡들의 찬반논쟁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개헌문제에 대해 언급을 삼가고 신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한나라당 친박계 역시 극도로 자제하는 분위기인데, 앞서 박 전 대표가 정치권 일각의 권력구조 개편시도에 대해 분권형 대통령제과 이원집정부제, 내각제 등보다 ‘4년 중임제’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는 점이 알려졌을 뿐 구체적 개헌논의에 대한 반응은 보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정가 일각에선 박 전 대표가 당장 시급한 현안은 민생문제라고 보고 있고, 개헌이나 권력구조 개편이 급하지 않다는 판단을 내리고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흘러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친박계 인사는 사견임을 전제로 “현재 경제와 민생문제가 국민들의 관심사이고 현안이 되고 있다”면서 “권력구조 개편논의나 개헌의 공론화가 국민적 공감대를 얻을 수 있는지는 미지수이다. 자칫하면 정치적 역풍을 맞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의견을 밝혔다.

또 다른 친박계 관계자들은 이번 논의가 시대정신 변화와 권력구조 개편을 원하는 국민적 의지가 담긴 것이 아닌 특정세력을 위한 정략처럼 보일 가능성을 경계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 정가에선 개헌 추진론자의 주장대로 분권형 대통령제를 감안해 권력구조 전체를 바꾸는 것이 됐든 4년 중임제나 대선-총선의 실시시기를 맞추는 선의 제한적 개헌이 추진되든 개헌정국에 들어가면 대권주자 각자 입장을 밝힐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박 전 대표는 당장 정치권의 개헌논의 공론화에 대한 성급한 논쟁에 휘말리지 않고 예의 주시하는 가운데, 대권행보 차원에서 국민이 원하고 국가가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현안이 우선이란 판단에 따라 개헌논의에 침묵을 지킬 것으로 예상돼 귀추가 주목된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896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