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시기 현정권 임기내 38% vs 차기정권 29%
- 20대 뺀 전 연령층, 현정권 개헌추진 호응높아
최근 정기국회의 시작과 함께 다시금 개헌 이슈가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국민 여론은 개헌의 시기와 관련해서 현 정권에서 개헌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27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에 따르면 적정 개헌시기에 대해 여론조사 결과, ‘현 정권에서 개헌’ 37.6%, ‘다음 정권에서 개헌 ’ 28.7%라는 응답이 나타났다. (모름/무응답 33.8%)

▲ <자료1 : 리얼미터>
지지정당별로는 한나라당 지지층의 55.0%가 현 정권에서 개헌을 추진해야 한다고 응답했고, 16.9%가 다음 정권에서 개헌을 추진해야한다고 답했다.
반면 민주당 지지층의 경우 28.5%만이 현 정권에서 개헌을 추진해야 한다고 응답했고, 40.0%는 다음 정권에서 개헌을 추진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연령별로는 2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현 정권 개헌추진의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정치 성향에 따라서는 보수적 성향이 강할수록 현 정권에서 개헌을 추진해야 한다는 응답이 높았으며, 다음 정권에서 개헌을 추진해야 한다는 응답은 진보성향이 강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개헌에 따른 권력구조와 관련해선 4년 중임제라는 응답이 38.5%로 가장 높게 나타나, 작년 조사결과(36.7%) 보다 소폭 올랐다. 5년 단임제는 22.7%로 작년(23.0%)과 비슷했고, 의원 내각제는 10.7%로 역시 작년(10.9%)과 큰 변화가 없었다. 분권형 대통령제는 6.2%로 작년(9.6%)보다 하락했다.

▲ <자료2 : 리얼미터>
지지정당별로는 한나라당 지지층과 민주당 지지층 모두 ‘4년 중임제’의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를 제외하고는 전 연령대가 ‘4년 중임제’의 응답이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30대가 51.6%로 가장 높았다. ‘5년 단임제’는 40대에서, ‘의원내각제’는 20대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의 경우 ‘4년 중임제'라는 응답이 50.9%로 높게 타나난 반면, 여성의 경우 ‘4년 중임제’가 26.5%, ‘5년 단임제’가 26.6%로 팽팽해, 남성과 차이를 보였다. 정치성향별로는 보수적 성향이 강할수록 ‘4년 중임제’ 의견이 높게 나타났고, 진보적 성향이 강할수록 ‘5년 단임제’의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 10월 25일, 전국 19세이상 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전화로 조사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7%p였다.
<프런티어타임스 이민기 정치부 기자 mkpeace21@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