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美와 ‘원·달러’ 교환 추진
- 외화 유동성에 대한 우려가 사라지면서 시장 안정에 큰 도움
한국과 미국 간에 통화스와프 협정이 추진되고 있다.
재정부 관계자는 29일 미국 발 금융위기가 본격화 할 당시부터 한국 정부와 미국 재무부간에 통화스와프 협정 문제를 협의해 왔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서 현재 우리나라를 방문 중인 미 재무부 대표단과 통화스와프 협정 문제를 계속 조율해 왔으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한국시간으로 30일 새벽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한국과의 통화스와프 체결 문제를 최종 결정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통화스와프 거래란 미래의 특정일 또는 특정기간에 한국은행이 금융자산이나 원화를 주고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로부터 달러를 교환하기로 약속하는 형식이다.
통화스와프(Swap) 거래란 기본적으로 미래의 특정일 또는 특정기간에 어떤 상품 또는 금융자산을 상대방의 상품이나 금융 자산과 교환하는 거래를 말한다.
통화스와프가 체결되면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이 마련 중인 신흥국 단기유동성 지원 프로그램에는 참여할 필요성이 없어지며 원.달러 환율 상승, 기업들의 달러 사재기 등 부작용도 상당부분 해소될 전망이다.
현재 전 세계에서 미국과 통화스와프를 체결한 나라는 유럽중앙은행(ECB)과 캐나다, 영국, 일본, 호주 등 8개국이다.
한미간에 통화스와프 협정이 체결되면 미국 FRB가 30일 새벽 4시께 공식 발표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