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한글자판국제표준화 적극나서야
- "정부, 법 테두리 내 한글자판국제표준화 강력히 추진 요구"
중국이 휴대폰 시장에서 한글자판 국제표준화 작업을 추진 중인 것과 관련해 한나라당은 14일 적극적인 정부의 대응 촉구와 함께 당정회의는 물론, 공청회 등 적극적인 대책마련에 나설 방침이다.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중국정부가 한글의 IT 입력 국제표준어를 마련하고 있다는 언론 보도로 현재 누리꾼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며 “사실이라면 한글 종주국으로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특히 “관련 업계의 첨예한 이해관계로 아직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면서 “적극적인 조정 노력 없이 이런 상황까지 오게 한 관계 당국의 미온적 대처는 큰 잘못”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정부는 법이 정한 테두리 내 에서 한글자판국제표준화를 강력히 추진해서 꼭 성사를 해야 한다”며 “해당업계에도 이해관계의 중국 등의 범주를 떠나서 제3국이 사용가능한 모바일기기 한글표준화 마련에 공동 노력에 동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이것이 우리 소비자에 대한 당연한 도리고 기업이익이 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정부는 중국의 한글자판 표준화에 대한 정확한 의도를 파악해 협상해주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여기에 대해 원희룡 사무총장은 “우리 업체들의 이해관계 엇갈림 때문에 표준제정을 못하고 있던 상황”이라며 “정부가 몇 차례 표준제정을 시도했지만 특허가 4백여 개에 달하고 표준에서 배제된 업체들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표준제정에 실패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의 대한 반중 정서에 대해서도 “오해”라며 “우리 업체들의 이해관계 엇갈림 때문에 표준제정을 못하고 있던 상황에서 중국내에 56개 소수민족들에 대해서 문자가 있는 소수민족들에 대한 자판입력방식표준화가 진행이 됐다”고 지적했다.
원 사무총장은 “중국의 입장에서는 한국이 제정을 하면 계속 협력하겠다는 입장임을 어저께 확인했다”며 “당장은 중국의 조선족, 나아가서는 남북 간의 한글자판의 통일을 추진해나간다는 그런 입장에서 국가적인 관심을 기울여야한다”고 강조했다.
원 사무총장은 이어 "기술표준원과 지식경제부, 방송통신위원회를 주축으로 한 당정회의를 개최할 것"이라며 ”관련 업계와 조선어학회 등 관련자들을 총망라해서 한나라당이 주최하는 공청회를 열어 국제적인 흐름을 따라갈 수 있도록 발빠르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프런티어타임스 임효준 정치부장 dreamecho@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