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S "남북화해, 일방적 양보-뒷거래 안돼"
- “김일성 담판 이뤄졌다면 한반도 더 안정됐을 것”
천안함 사태 이후 얼어붙었던 남북관계가 이번달 30일부터 남북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갖게 되는 가운데 김영삼 전 대통령은 6일 지난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김 전 대통령은 “화해란 햇볕정책과 같이 일방적인 양보와 뒷거래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며 “원칙을 저버리지 않으면서 투명한 정책을 펼칠 때만 남북한 간의 진정한 협력이 이뤄진다”고 강조했다.
김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프레스센터에서 한반도선진화재단 주최로 열린 ‘한선국가전략포럼’ 창립기념식에 참석, ‘문민정부의 변화와 개혁 전략’을 주제로 한 특강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전 대통령은 특히 “한반도 적화통일의 목표와 통일전선 전략을 조금도 수정하지 않고 있는 북한을 상대로 한민족 공존공영의 통일정책을 추구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지난 대통령 시절 취임 직후 비전향 장기수인 이인모 노인의 북송 등을 결정하는 등 대북 화해 조치를 취했지만 북한은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 거부로 답했다며 “출발부터 북한의 전략적, 이기적 전략 때문에 큰 시련을 맞았다”고 회고했다.
이어 그 당시 김일성 죽음으로 이뤄지지 못한 남북정상회담과 관련해 "만약 건국 이후 첫 번째 남북정상회담이 될 수 있었던 김일성 주석과의 담판이 이뤄졌다면 역사는 많이 달라졌을 것"이라며 "북한은 지금보다 훨씬 나은 환경을 누릴 수 있었을 것이고, 한반도는 훨씬 더 안정됐을 것"이라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김 전 대통령은 또 문민정부가 민주국가, 자주국가, 통일국가 등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상화, 투명화, 합리화 개혁조치들을 실천에 담았으며 이는 “변화하는 시대에 앞장서려 한 것”이라며 밝혔다.
반면 외환위기와 관련해선 “시대가 우리보다 더 빨리 변화한 부분도 있었고, 아시아 금융위기가 닥쳤을 때 이를 절감했다”며 “지금은 다음 정권들에 의해 매도당한 바가 많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나라에서만 IMF 외환위기‘라고 한다”며 “그러나 언젠가 역사가 이를 바르게 잡아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프런티어타임스 임효준 기자dreamecho@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