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회장 재산 8조7천억원...1조원 클럽 19명
- 정몽구-정몽준-신동빈-정의선 순 작년대비 5명 늘어
우리나라에서 1조원이 넘는 개인재산을 보유한 부자가 지난해보다 5명이 늘어난 19명인 것으로 파악돼 눈길을 끌고 있다.
이와 관련, 재벌닷컴은 4일 우리나라 최고부자는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으로 상장사 및 비상장사 주식지분가치-배당금 등을 합친 개인재산이 8조7,333억원으로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아울러 ‘1조원 클럽’ 가운데 자수성가한 부자는 이민주 에이티넘 파트너스 회장을 비롯해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이사,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 김준일 락앤락 회장 등 4명이었다.
재벌닷컴은 1,799개 상장사, 1만3,589개 비상장사 대주주 보유 지분가치와 주식매각 등으로 취득한 현금자산 등을 평가해 개인재산이 465억원이상인 부자는 400명이라고 설명했다.
이 가운데 1조원이상 재산을 보유한 19명을 포함해 개인재산이 1,000억원을 넘는 재산가는 모두 216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며 400대 부자 중 여성은 전체의 11%인 44명, 연령별러는 50대가 전체의 26.8%인 107명이고, 이어 60대가 97명 등 순으로 평균연령 54.2세였다.
특히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개인재산 8조7,333억원으로 한국 최고의 부호를 차지했으며 2위를 차지한 정몽구 현대-기아차그룹 회장은 금년에 상장사 주식지분 가치가 상당부분 늘어났으며 비상장사 현대엠코 등 주식가치-배당금이 모두 6조5,670억원인 것으로 평가됐다.
3위는 2조6,888억원의 정몽준 한나라당 국회의원이며 신동빈 롯데그룹 부회장의 경우 2조3,651억원으로 4위를 차지하고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은 2조3,358억원으로 5위에 랭크됐다.
이어 신동주 일본롯데 부사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사장,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사장 순으로 ‘1조원 클럽’의 상위 10위권에 들기도 했다.
자수성가형 부호론 이민주 에이티넘파트너스 회장이 현금자산, 상장 및 비상장사 주식가치를 합쳐 1조5,406억원으로 가장 많고 김택진 엔씨소프트 사장은 1조2,812억원을 기록했다.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의 경우 1조1,841억원이었으며 1조원 클럽 멤버 19명 가운데 범삼성가(家) 출신이 4명으로 가장 많고, 범현대가가 3명, LG 및 롯데그룹 출신이 2명씩 랭크됐으며 SK 및 태평양, 교보생명 등이 각 1명씩 포함됐으며 자수성가 부자는 4명에 달했다.
또한 이번 조사결과 우리나라 최고부자인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부인과 1남2녀 직계 가족의 재산총액이 12조1,752억원으로 집계돼 그야말로 최고의 부자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이 회장의 부인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은 재산규모는 8,415억원이고 장녀 이부진 호텔신라 전무는 4,382억원이며 차녀인 이서현 제일모직 전무는 3,685억원이었다.
이와 함께 정몽구 현대-기아차그룹 회장 일가족은 8조9,553억원을 보유해 2위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신격호 롯데그룹 회장 가족은 5조2,203억원으로 3위를 차지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고 구본무 LG그룹 회장 가족의 경우 총 3조324억원으로 4위에 랭크된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이번 재벌닷컴 조사는 상장사 및 비상장사의 개인보유 주식지분가치는 9월30일을 기준으로 하며, 보유주식 지분처분액은 2008년 1월이후로 집계된 것으로, 현금자산은 2009 회계연도와 2010년 반기말 기준 상장사 및 비상장사의 배당금 수령액 등을 감안된 것이다.
아울러 비상장사 주식 지분가치는 2009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했으며 증여-상속세법에 규정하고 있는 비상장기업 주식가치 평가방법에 의거해 산출됐으며, 실거래가(공정가치)가 있는 경우 이를 우선 적용하되 자산가치(청산가치)-순익가치 비중을 6대4의 비율로 계산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