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황식 카드'에 녹아있는 MB 스타일
- [기자의눈]언제나 떠밀리는 모습 '답답'
김황식 카드에는 이명박 대통령의 정치 스타일이 녹아있다.
김황식 총리 후보자는 앞서 김태호 전 경남지사가 낙마함에 따라 나온 후속 인사다. 젊음과 세대교체로 상징되는 김태호 전 지사는 국무총리에 내정된 이후 야당으로부터 엄청난 정치적 공세를 받았다. 뿐만 아니라, 여당인 한나라당 내부에서도 그에 대한 반감이 나왔다. 이에 이명박 대통령은 야당이나 여당 내 반대세력을 설득하기 보다는 그냥 물러섰다. 결과적으로 이 대통령이 정치적으로 밀린 셈이다.
이처럼 이 대통령이 그냥 밀리는 게 아니라 적극적으로 야당 및 여당 내 반대세력을 설득하거나 맞서는 모습을 비쳤다면 어떠했을까? 적어도 이 대통령이 '김태호 정국'에서 패배했다는 소리는 듣지 않았을 것이다. 이 대통령이 보다 강한 모습을 보여줬더라면 여당 내부에서도 함부로 김 전 지사에 대해 공세를 펼칠 수 없었을 것이고 여론도 그처럼 반대로만 흐르지 않았을 것이다.
이 같은 아쉬움 속에서 이 대통령은 떠밀리는 듯한 모습으로 김황식 카드를 꺼내 들었다. 이런 김황식 카드에는 애초부터 정치적 감동이나 신선함이 없었다. 그저 도덕성에서 별 문제가 없다는데 의미를 뒀을 뿐이다. 하지만, 26일 현재 김황식 카드의 유일한 의미였던 '도덕성'도 야당의 파상공세에 흠집이 나고 말았다. 때문에 김황식 후보자가 설령 국무총리가 된다고 하더라도 별 관심을 끌지 못할 것이다.
대통령에게 있어 인사행위는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높일 수 있는 기회다. 그럼에도 이 대통령은 이 같은 기회를 제대로 살리지 못했다. 문제는 이 대통령의 정치 스타일에서 이 같은 실책이 자주 목격된다는 점이다. 이 대통령은 주요 이슈를 놓고 다부지게 나서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다. 특히, 국가백년대계인 세종시 문제에서 그랬다. 처음에 수정 카드를 꺼내들어 주목받았지만 끝까지 가지 못했다. 중간에 사실상 세종시 원안파를 향해 손을 들고 말은 것이다.
이러니 이 대통령의 정치에서는 감동이나 스릴이 없다. 물론, 대통령이 수시로 정국을 뒤흔드는 정치행보를 해서는 안된다. 하지만, 대통령이 여의도와 국민여론에만 그냥 휩쓸린다면 대통령의 존재감이 희미해질 수밖에 없고 오히려 정국이 혼란으로 빠질 수 있다. 집권 후반기를 맞은 이 대통령이 서울시장 시절 청계천 복원을 할 때와 같은 강단을 보여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프런티어타임스 윤종희 정치부장 yjh_1120@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