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당, 왜 미래희망연대 품으려고 하나?
- 한나라-미래희망연대 합당불발 가능성 높아져
"현재 자유선진당이 어려운 것은 사실로 더 이상 내려갈 곳이 없다고 보고, 당의 활로를 모색하는 차원에서 한나라당과 합당이 불발된 미래희망연대와 연대를 구상 중이다"
자유선진당 권선택 원내대표가 지난 15일 기자간담회에서 밝힌 말이다.
권 대표의 이번 발언배경은 '7·14 합당선언'으로 한나라당과 미래희망연대가 합당수순을 밟다가 최근 한나라당이 미래희망연대가 미납한 증여세 13억원을 해결해야만 합당을 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데서 기인한다.
특히 자유선진당이 미래희망연대와 합당을 원하는 것은 '세 가지' 상황이 맞물려 있다.
먼저 선진당은 당 내·외에 '위기의식'이 기저에 깔려 있다. 선진당은 지난 6·2 지방선거와 7·28 재·보선에서 잇따라 패한 직후 이용희, 이상민 의원 등의 탈당설이 터져 나오는 등 당 존립위기설이 불거졌다.
이 무렵, 엎친데 덮친 격으로 이 대표의 보수대연합론도 추동력을 상실했다는 얘기가 횡횡하기 시작했다.
당시 정가에선 이 대표가 지방선거 이후 제기한 보수대연합론을 통한 한나라당과 선진당의 합당 가능성을 꽤 높게 점쳤다.
하지만 이명박 대통령은 8·8 개각에서 48세의 김태호 전 경남지사를 총리 후보자로, 앞서 청와대 참모진 개편에선 한나라당 임태희(54세) 의원을 대통령실장으로 발탁했다.
여권 안팎에선 이를 두고 이 대통령이 8·8 개각에서 정치권 세대교체 의중을 드러낸 만큼 이 대표의 손을 잡아줄 가능성이 낮아졌다고 풀이했고 이는 곧 한나라당과 선진당의 합당 불발 가능성을 높여줬다.
여기에 더해 비교섭단체라는 선진당(16석)의 설움도 미래희망연대(8석)와 합당을 원하게 하고 있다.
이 대표는 10일 지방행정제도 개혁과 관련, "한나라당과 민주당 사이에 개편혁신위원을 양당 소속 의원 2명씩으로만 구성하기로 합의했다"며 "비교섭 단체에게도 참여의 기회를 줘야 공정한 것"이라며 비교섭단체의 설움을 내비쳤다.
아무튼 한나라당과 미래희망연대의 '7·14 합당선언'이 무위로 끝나는 수순을 밟고 있는 가운데 선진당의 미래희망연대를 향한 '구애'가 먹힐 것인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프런티어타임스 이민기 기자 mkpeace21@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