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北 이산가족 상봉 제안에 '온도차'
- 선진당 "국군포로.납북자 최대한 많이 포함돼야"
정치권은 북한 조선적십자회가 추석을 맞아 이산가족 상봉을 대한적십자사측에 제의한 것과 관련, 일제히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하지만, 이산가족 상봉 대상자 문제 등과 관련해 온도차를 드러냈다.
한나라당 안형환 대변인은 11일 "(북한이) 갑자기 이산가족 상봉을 제의한 의도가 궁금하지만 이유가 어찌됐든 그 제의를 환영한다."고 구두논평을 통해 밝혔다. 안 대변인은 그러면서도 "이산가족상봉 문제는 정치적 흥정의 대상이 될 수 없다."면서 "북측은 진정성을 갖고 이산가족들의 아픔을 덜어주기 위해 적극 나서주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도 "북측의 제의는 일단 긍정적이지만 다른 목적을 위한 꼼수여서는 안된다."고 선을 그었다. 박 대변인은 특히 "이번 이산가족 상봉에는 국군포로와 납북자가 최대한 많이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전현희 대변인은 "북한이 먼저 이산가족 상봉을 제의하며 손을 내민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며 "북한의 이산가족 상봉 제의를 계기로 우리도 거기에 부합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 대변인은 그러면서 "북한에 대한 인도적 쌀 지원을 재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노동당 우위영 대변인은 "정부의 대북강경책이 변화하지 않고는 이명박 대통령이 언급한 제2의 개성공단은 장밋빛 구호에 불과하다."며 "북한의 이번 제의를 계기로 정부는 대북정책을 하루빨리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통일부 당국자는 이번 북측 제안에 대해 "대한적십자사는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정부와 협의를 통해 향후 대책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이날 밝혔다.
이와 관련, 상봉 날짜와 규모를 확정하고 명단을 교환하는 등 실무적 절차에 최소 한 달 정도가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실제로 남북 간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진다 해도 이번 추석(22일) 전에 이뤄지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프런티어타임스 윤종희 정치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