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황식 감사원장 "하반기 공직인사 전반 점검"
- 취임 2주년 간담회서 "투명성 제고 전기-무사안일 타파"
김황식 감사원장이 오는 8일로 취임 2주년을 맞는 가운데 최근 논란이 제기된 공직사회 인사 전반에 대한 점검 및 감사를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원장은 6일 간담회에서 유명환 전 외교부 장관의 딸 특채로 불거진 공무원 임용비리의혹과 관련해 조만간 공무원 채용을 비롯한 인사전반에 대한 특별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특히 김 원장은 “감사원은 올 하반기 공직인사 비리에 대한 점검계획이 있었다”며 “지금까지 계획에 따라 올 하반기에 공무원 인사전반에 관한 특별점검을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특히 그와 관련, 금주부터 자료 수집 등의 준비를 거쳐서 감사에 착수할 계획”이며 “감사 착수시기나 규모 등은 자료 수집결과를 통해서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키도 했다.
이와 함께 김 원장은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5일 장-차관 워크숍에서 강조한 ‘공정한 사회’ 구현에 대해 “원론적인 말이지 특별하게 사정정국을 얘기한 것은 아니라도 본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또 “통상적으로 법과 원칙에 따라 국정을 운영하겠다는 취지로 감사원도 법과 원칙에 따라 기강을 바로 세워 국리민복에 기여하는 것을 운영의 기조로 삼아왔다”고 말했다.
더불어 그는 “이런 운영기조 자체가 공정사회란 목표의 실천수단이라고 생각한다”며 공직사회 감사에 대해선 “하위직은 자체 감사기구에서 진행하고 자치단체장이나 고위 공직자 등 고위직은 감사원에서 관심을 갖고 비리가 척결될 수 있도록 더 중점을 두겠다”고 역설했다.
또한 그는 “6.2 지방선거이후 단체장이 무리한 ‘제사람심기’의 수단으로 특별채용이 이용되지 않나 하는 의구심도 있다”며 “이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감사원과 관가에 따르면 김황식 감사원장은 ‘법과 원칙을 바로 세워 국리민복에 기여하는 감사’를 기관운영 기조로 내걸고 공직기강 확립 등에 초점을 둬왔는데 자체감사의 독립-전문성 강화, 공공감사 효율성을 제고를 위한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 제정에 기여한 바 있다.
실제로 김 원장은 “공감법 제정으로 공공부문 전반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할 일을 하지 않은데 대한 감사’로 전환하는 한편, 적극행정 면책제도를 신설해 공직사회의 복지부동과 무사안일 타파하는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감사원은 지난 7월 공직감찰본부를 신설, 감찰활동 컨트롤 타워역할을 맡기고 기존 1-2사무차장은 회계-정책감사에 전념토록 회계-감찰검점 체계의 효율화를 추진 중이다.
특히 감사원은 지난 2년간 233개 기관, 328개 사항의 예산-회계집행의 합법성 등을 집중 점검, 예산절감 및 변상-시정을 통해 총 10조2,800억원에 달하는 경제적 성과를 내기도 했다.
비위 공직자 677명에 대해선 어김없이 감사원의 징계 및 문책이 요구됐으며 220명에 대해선 검찰고발 등 조치를 취해 법-원칙을 지키는 공직풍토 조성에도 앞장선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 정치권 일각에서 후임총리 하마평이 나오는 것과 관련해 김 원장은 “언론을 통해 후보군 중 한 사람으로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만 알고 있다”고 운을 뗐으나 “감사원장 직무를 열심히 하는 것이 제가 지금 할 일이며 그 점만 생각하고 있다”면서 구체적인 언급은 피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