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0-09-05 12:12:15
기사수정
민주당 전당대회 준비위원회(이하 전준위)가 경선 방식(경선룰)을 두고 재협상에 들어간다.

당초 전준위는 4일 오후 회의를 갖고 협상 마무리에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5일 오후 재협상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일정상 5일 오전까지는 경선 방식에 대한 합의안을 마련해 6일 당무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지만, 일정이 늦어지면서 표결 처리로 갈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정세균-손학규-정동영, ‘경선 방식’ 놓고 첨예한 대립

이견은 왜 좁혀지지 않을까? 이유는 정세균·손학규 전 대표와 정동영 상임고문, 이른바 ‘빅3’의 이해관계가 크게 엇갈리면서 첨예한 대립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때 정 전 대표의 측근이 손 전 대표를 찾아 불출마를 권유하는 등 ‘정세균-손학규 연대론’까지 등장했다. 하지만, 핵심쟁점 중 하나인 지도체제 문제와 관련해 단일지도체재를 선호했던 손 전 대표 측이 입장을 선회해 정 고문 측이 주장한 집단지도체제 도입을 수용하기로 하면서 ‘손학규-정동영’ 대 ‘정세균’ 구도가 돼 가고 있다. 집단지도체제는 한나라당이 지난 7월 전당대회에서 사용한 방식으로, 여러 명의 최고위원 중 1위 득표자가 대표가 된다.

정 전 대표는 “지금의 전대 룰은 내가 만든 것이 아니라 그 전 대표 시절에 만든 것”이라며 손 전 대표에게 책임을 전가하면서도 “다만, 합리적인 개정 요구가 있다면 수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 절충안 채택 가능성을 내비쳤다.

선출방식에 있어서는 정 전 대표가 주장하는 현행 100% 대의원 투표, 손 전 대표가 주장하는 국민여론조사, 정 고문이 주장하는 당원투표제를 혼합하는 방식이 제기되고 있다. 혼합하는 방식에서는 각각의 비율을 어떻게 맞출 것인지에 대한 문제가 남는다.

총선공천권과 관련해서는 대선 승리를 목적으로 하는 손 전 대표 측이 당권을 가진 자가 총선에서 공천권도 함께 갖길 바라고 있다. 당 일각에서는 당권과 대권의 분리는 당 대표의 권한을 약화시켜 ‘허수아비’로 전락시킬 우려가 있는 만큼, 권한과 책임을 동시에 지우는 것이 옳다고 주장하며 손 전 대표의 방식에 찬성하고 있다. 정 전 대표와 정 고문은 손 전 대표와는 반대로 당권·대권의 분리를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손 전 대표 측은 총선공천권 문제만 동의해 준다면 다른 쟁점은 양보할 수 있다는 입장이고, 정 고문 측은 집단지도체제 문제에 동의해 준다면 공천권 포기 의사를 밝혀 두 사항을 모두 반대하는 정 전 대표와의 합의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막판 협상 결렬시, 표결로 결정될 수도...

이번 막판 협상이 결렬될 경우, 표결로 결정될 가능성에 대한 기대치도 올라가고 있다.

계속해서 합의 도출을 하지 못하면 표결을 통한 단일안을 채택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아 5일까지 협상에 실패할 경우 표결로 결정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는 정 전 대표 측에서 적극적인 반대의사를 표명하고 있다.

경선 방식을 추인하는 당무위원회의 구성원은 현재 ‘친(親)정세균’ 성향이 다수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준위에서 경선 방식이 합의되지 않아 표결 처리로 넘어갈 경우, 정 전 대표 측이 표결에 불참하고 당무위가 전준위안을 거부하게 만들어 현행 방식대로 전대를 치르게 할 수도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빅3’와 함께 ‘쇄신연대’의 박주선 전 최고위원·천정배 의원까지 당권 도전에 합류하면서 복잡하게 얽힌 이해관계에 따른 이번 전준위 협상의 귀추가 주목된다.

<프런티어타임스 최정숙 정치부차장 frontier1@frontiertimes.co.kr>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828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