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집권후반 정계개편 가속화될까?
- 한-선 합당논의 등 '보수대연합론' 주춤… 일부에선 보수신당 조짐도
이명박 대통령의 집권후반 국정 드라이브를 앞두고 당정청 쇄신이 모두 마무리된 가운데 정계개편 필요성이 급부상하고 있다.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나라당과 자유선진당의 통합논의가 불발되면서 6.2 지방선거 패배이후 부상했던 ‘보수대연합론’이 사실상 물 건너간 것 아니냐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반면 보수정권 재창출을 위해선 한나라당을 해체하는 동시에 신흥세력 주도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과 PK(부산경남)위주 친이계, TK(대구경북)를 중심으로 한 친박계, 충청권 지역당인 자유선진당 등으로 나뉜 보수진영 분열상황을 끝내야 한다는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다
이와 관련, 한 정치권 관계자는 “동계올림픽 유치가 불발된 강원이나 세종시 수정이 물 건너간 충청의 민심이 민주당을 중심으로 하는 소위 좌익블록으로 넘어가고 있다”면서 “지역간 및 계파를 가르는 정치구도가 더욱 명확해지고 있다. 정계개편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 “정파간 지역분할 구도가 사회통합을 저해하고 국론분열의 불씨가 되고 있다”며 “정당이란 것이 이념-정책의 명확성보다 ‘냄비근성’ 같은 고질적인 지역주의에 기생하고 있는 셈이다. 보스는 공천을 미끼로 지역비리 및 부패의 뒤를 봐줘온 것이 아니냐”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가에선 좌우-보혁을 막론하고 여야 각 당의 공천제도가 참신하고 역량 있는 인재를 발굴하기보다 보스의 구미에 맞는 추종자를 양산하고 있어 새로운 정치구도와 더불어 새로운 정치를 이끌 구조적인 변화 및 정계개편의 적시성을 거론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실제로 한 정가 관계자는 “여야 정치권이 사실상 보스정치로 회귀했다”면서 “상납 없는 공천이나 영전은 불가능하다. 집권세력의 인사권 남용은 물론 각종 선거에 공천추문이 나오고 이들의 영향아래 있는 기관의 인사스캔들은 부패가 만연화되고 있음을 반증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좌파는 분열해서 망하고 보수는 부패해서 망한다’는 속설을 거론, “돈 받고 인사하고 공천해주니까 망한다. 돈을 안 주면 공천도 안 되고 좋은 자리도 못간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정가 일각에선 계파이익에 따른 분열-갈등을 지속한 기존 한나라당위주 보수진영의 문제를 해소해 청신한 기풍을 일으키겠다며 신당을 창당하려는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들은 우선 일본 정계에서 보수세력의 결집체 역할을 했으나 파벌주의로 쇠락한 자민당과 유사한 행태를 보이는 여당으론 보수정권 재창출이 불가능할 것이라면서 최근 민주당 중심으로 각종 선거에 ‘후보 단일화’를 내세운 좌익블록에 맞선 보수신당 출현을 예고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정가 관계자는 “측근위주 인사스타일을 고집하는 이명박 대통령이나 현 정부가 제대로 대접하지 않고 챙겨주지 않아 불만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며 “개각에 앞서 총리 후보자로 거론됐던 인사는 신당을 차려 대권에 도전할 것이란 소문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정권창출에 기여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군단정도는 될 것”이라며 “챙겨 받지도 못할 걸 왜 지원했는지 모르겠다. 실세만 돌려쓰는 인사나 영포회-선진연대 등 집권층 일부 부패세력을 척결하기 위해서는 외부세력 수혈이라도 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이명박, 박근혜, 이회창 등을 대체할 보수진영의 새 얼굴을 내세워야 한다”며 “보수진영에 낡고 부패한 이미지가 굳어지고 있다. 기업에서 수익이 안 남는 사업은 청산해야 하듯 기존 보수정치를 철폐한 뒤, 新보수주의 운동을 벌여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