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떠나면서도 "세종시는 국력낭비"
- "장차 도래할 혼란 방지하지 못해 자책감"
정운찬 국무총리가 사퇴 의사를 밝히는 자리에서 다시 한번 세종시와 관련한 자신의 소신을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정운찬 총리는 29일 오후 3시 세종로 정부종합청사 3층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총리직에서 사임한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그러면서 "무엇보다 백년대계를 위해 세종시 수정안을 마련했지만 이를 관철하지 못한 점은 개인적인 아쉬움의 차원을 넘어 장차 도래할 국력의 낭비와 혼란을 방지하지 못했다는 자책감을 불러 일으킨다."고 말했다.
그는 또 "당초 생각했던 일들을 이루어내기에 10개월이라는 시간은 너무 짧았고 우리나라의 정치지형은 너무 험난했다."면서 정치권을 에둘러 비판했다.
정 총리는 이와 함께 "그 동안 국가 운영의 원칙을 바로 세우고 어려운 사람들을 위로하면 사회의 그늘진 곳을 밝게 하는 균형추의 역할을 하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했다."고도 말했다.
정 총리는 6.2지방선거 이후 수차례 걸친 사의 표명에도 총리직을 계속 유지한 이유에 대해 ""6.2 지방선거부터 7.28 재보궐 선거에 이르는 일련의 정치활동 속에서 자칫 동요할 수 있는 정부의 근무 기강을 확립하고 국정의 중심을 잡아야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다행히 7.28 재보궐 선거가 마무리된 지금, 주요 정치 일정이 일단락되면서 대통령께서 집권 후반기를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여건과 계기가 마련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이날 공식적으로 사의를 표명했지만 국정 공백을 막기위해 후임 총리가 임명될 때까지는 직무를 계속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정 총리 후임으로는 김덕룡 대통령 특보, 김태호 전 경남지사, 이석연 법제처장, 강재섭 전 한나라당 대표,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 이완구 전 충남지사, 조무제 전 대법관 등이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제3 인물론과 함께 박근혜 전 대표 총리설도 여전히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프런티어타임스 윤종희 정치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