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0-07-09 08:04:04
기사수정
오는 7. 14 치뤄지는 한나라당 전당대회를 앞두고 지도부 입성을 노리는 12명의 후보들이 날선 공방을 주고 받으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각 후보들이 6일 대구·경북을 시작으로 전국을 돌며 비전발표회를 통해 출마의 당위성을 역설하고 있는 가운데 박근혜 전 대표의 '총리설'이 심상치 않게 돌고 있다.

하지만 박 전 대표는 지난달 15일 전대 불출마 선언을 끝내 지킨 이후 불거지고 있는 '총리설'에 대해서도 입을 굳게 다물 뿐이다.

대신에 그는 경선레이스에 뛰어든 친박후보들(서병수·이성헌·이혜훈·한선교)의 선대본부 개소식에 모두 참석해 측면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정가에선 이런 박 전 대표의 의지적 행보(?)에 숨은 수를 찾을 수 있는 장면으로 지난달 17일 "내가 대표가 된들 대통령에게 불편만 주지, 무슨 도움이 되겠느냐"는 친박계 모임에서의 발언에 해답이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 모임에 참석한 친박계 의원은 "여권 주류가 묘하게 계파갈등의 핵심을 비켜가고 있는데 박 전 대표가 원하는 것은 당 대표도 총리도 아니다"라면서 "이명박 대통령이 자리를 제안하기에 앞서 박 전 대표를 국정운영의 동반자로 인정해야만 난마처럼 얽힌 국정과제가 풀릴 것"이라고 했다.

여기에 더해 6일 친박계 핵심인 이성헌 후보도 "이제 이명박 대통령이 박근혜 전 대표를 동반자로 예우해야 당내 갈등은 해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친박계의 입장은 지금 처럼 두 사람 간의 '어정쩡한' 관계 속에선 박 전 대표가 특정 자리를 맡는다고 하더라도 관계회복이 아닌 심각한 불화로 치달을 가능성이 높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즉 박 전 대표가 국정운영의 동반자로서 자리매김하지 않은 상태에서 당 대표를 맡게 되면 세종시 문제에서 보듯이 국정 현안마다 친이, 친박계가 또 다시 대립각을 세우는 양상이 벌어질 것이라는 얘기다.

다른 말로는 결국 박 전 대표의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 당내 화합의 첫 걸음이라는 주장이다.

이를 두고 여당의 전통적 지지기반인 대구·경북 대의원들 사이에는 당내 화합의 '키'를 결국 李-朴 두 사람이 쥐고 있는 상황에서 친이 후보도, 친박 후보도 자신들이 화합을 이룰 수 있는 적임자임을 목놓아 부르짖는 상황은 앞뒤가 전혀 맞지 않는다는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어쨌든 이번 한나라당 11차 전대가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는 장이 될지 아니면 갈등의 골을 재차 확인하는 것으로 그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프런티어타임스 이민기 기자 mkpeace21@frontiertimes.co.kr>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764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