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0-07-07 10:52:27
기사수정
정운찬 국무총리가 지난 3일 이명박 대통령과의 독대에서 사의를 강력히 표명했으며 이 대통령은 이를 사실상 수용한 것으로 6일 전해졌다. 이에 따라 청와대 인적쇄신과 개각에 속도가 날 전망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독대 당시 정 총리의 사의를 만류했으나 정 총리의 사퇴 의지가 워낙 완강해 더이상 만류하지 못하고 사실상 수용했다"면서 "청와대 참모진 인사가 끝나는 대로 총리 인선을 포함한 본격적인 개각 작업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총리 인선과 관련해 "대통령실장은 전체적으로 아우를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고 변화의 이미지는 총리를 통해 주는 것이 맞다"면서 "총리는 파격적으로 가는 게 좋다고 본다. 그러면서 정치를 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청와대는 책임총리제를 통해 권력을 공유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책임총리제는 총리의 국무위원 임명제청권 및 해임건의권 등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고 총리의 각 부처에 대한 정책 조정기능을 강화하는 제도로, 헌법에 보장돼있지만 현 정부가 들어서면서 총리실의 기능을 축소함에 따라 의미가 흐려진 바 있다.

이같은 책임총리제의 실질적인 시행을 통해 이 대통령이 집권 후반기에 권력 공유를 통해 국정운영 방식을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관측이다.

후임 총리로는 호남 출신의 김덕룡 대통령 국민통합특보와 강현욱 전 전북지사, 김태호 전 경남지사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와 함께 강재섭 전 한나라당 대표도 총리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아울러 지난달 지방선거 직후 사의를 표명한 정정길 대통령실장의 후임으로는 임태희 고용노동부 장관이 매우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칸투데이 박형규 기자 © khantoday.com>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762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