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공기업이 많다. 공기업에서 하는 역할이 다양하니, 분야마다 진출하지 않은 공기업에 없을 정도다.
305개의 공적 조직중에서 101개의 공기업에서 간부급에 대한 성과 연봉제를 한다는 것이 우리나라 기획 재정부 플랜이란다.
잘 연구하고 시뮬레이션을 정밀하게 한후에 해야 한다. 졸속으로 가는 것을 예방하면서 말이다.
개인에 대한 보수 체계는 공적직장에서도 변화를 주는 경우에 신중하게 다뤄야 한다. 직장의 핵심적인 내용중에 연수입 구조가 존재해서다.
101개 연봉 성과제 실시 공기업 의 임직원 10만 4천여명 중에서 간부급 에 해당하는 10%인 1만 4천여명에게 성과 연봉제를 도입하는 것은 공적 조직에는 중요한 변화다.성과 연봉제는 기본 연봉제에 성과를 고려해서 보수를 지급하는 제도이므로 개개인에 대한 평가가 공정해야 한다.
직장내 정치를 잘하는 것보다는 공적 조직의 목표인 공익을 달성하는데, 그조직의 이익을 얻는데 기여하는 지수를 객관화 하는 작업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
그런 기준들을 명료하게 세우고 공정한 평가를 하는 시스템부터 정밀하게 가다듬은후 공적 조직 간부들에게 성과 연봉제를 도입 해야 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