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수정안 부결, 친이-친박 책임론
- "표만 추구한다며 매도"vs"신용불량자로 내몰아"
세종시 수정안이 지난 29일 국회 본회의에서 부결된 것과 관련, 30일 한나라당 친이(친이명박)계와 친박(친박근혜)계에 대한 성토가 정치권 일각에서 쏟아지고 있다. 수도분할이라는 세종시 원안이 분명 문제가 있음에도 두 계파가 분열한 바람에 수정에 실패했다는 지적과 맞물려서다.
우선, 친이계를 향해선 "마치 친박계가 표만 의식해 세종시 원안을 고수하는 것처럼 몰아붙였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런 행태로 친박계가 더욱 마음의 문을 열 수 없었다는 것이다.
친박계에 대해서는 "수정안에 찬성하는 친이계를 국민과의 약속을 뒤집는 신용불량자인 것처럼 몰아세웠다."고 비판한다. 친이계가 나름, 국가백년대계 차원에서 수정을 주장했는데, 이를 신뢰를 져버리는 행동으로 규정한 것은 문제라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박 전 대표가 근본적으로 세종시 원안에 찬성하는 점도 주목 받고 있다. 박 전 대표는 전날 국회 본회의 자유토론에서 "서울 인구가 700만명이던 시절에 국가 차원의 고민이 있던 것을 기억한다."며 세종시 원안에 찬성하는 이유가 수도권 인구 과밀 해소와 국가 균형 발전을 위한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와 관련, "박 전 대표가 세종시 원안 자체에 대해 그렇게 긍정적이었기에 조금도 휘어지지 않고 원안을 고수한 것 같다."는 분석이다. 더불어, 세종시 원안으로는 수도권 인구 과밀해소와 국가균형발전에 아무런 도움이 될 수 없다는 견해가 상당한 상황에서 박 전 대표의 이 같은 발언이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프런티어타임스 윤종희 정치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