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청, 인적쇄신 놓고 ‘권력투쟁’
- 본격 쇄신정국 앞두고 파워게임 불가피 분석
6·2 지방선거 패배 뒤 제기된 인적쇄신 논쟁이 당·정·청 핵심들의 '권력투쟁'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지난 6일 "국면전환용 깜짝 인사는 하지 않는다는 게 대통령의 철학"이라며 인적쇄신 가능성을 일축했다.
그러자 한나라당 초선 의원들 중심으로 "여권 개혁의 핵심은 청와대 개편"이라며 청와대 쇄신에 대한 요구가 봇물처럼 터져나왔고, 특정 수석의 실명까지 거론하며 교체를 촉구했다.
10일에는 초선 소장파 의원들이 "청와대 참모진 개편을 통한 민심수습과 국정운영 시스템의 획기적 개선을 요구한다"는 연판장까지 돌리면서 일촉즉발의 긴장감마저 감돌고 있다.
여기에 더해 일부 언론이 정운찬 총리가 지난 9일 주례회동에서 이명박 대통령과의 독대를 추진했으나, 청와대 참모들의 저지로 무산됐다고 보도하면서 청와대 권력투쟁의 단면이 공개됐다.
청와대와 총리실은 즉각 보도 내용을 전면 부인했지만 파문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특히 언론 보도의 진원지가 친이(친 이명박) 측근인사로 알려지면서 현 청와대 참모진과 인적쇄신을 주장하는 당정 핵심 인사들 간에 세력 다툼이 시작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대두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이 대통령의 선택이다. 현재 이 대통령은 선거 결과를 놓고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이 여러 그룹들로부터 국정쇄신 방안에 대해 보고받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대통령이 인적쇄신을 결심할 경우 시기가 빨라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결국 이 대통령이 이같은 갈등을 어떻게 봉합하고, 집권후반기에 매진할지는 앞으로 남은 인적쇄신에 의해 결정될 전망이다. <칸투데이 김원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