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쇄신 소용돌이 속 靑 개편론 급부상
- 李대통령, 쇄신압박에 시름 깊어지나?… 측근중심-폐쇄적 인사 비판
지방선거 참패를 계기로 부상한 여권 쇄신론이 청와대 일부 수석들의 사퇴와 참모진 전면 개편론으로 번지고 있어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10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나라당 초재선 의원을 중심으로 쇄신론이 제기되고 있는데 정무-홍보-민정수석 퇴진과 함께 대통령의 측근중심 폐쇄적 인사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 한 여권 관계자는 “청와대 참모진에 대한 개편과 개각이 시급하다”면서 “한나라당이 물리적으로 어려운 상황으로 전당대회를 7.28 재보선 뒤로 연기할 것으로 보이나 선거에서 나타난 민심을 수용하는 차원에서 정부-청와대의 쇄신은 당장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 “산적해있는 국정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선 국민들의 지지가 필요한데 시간을 차일피일 미루다 쇄신 때를 놓칠 가능성이 높다”며 “자칫 조기 레임덕이 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한나라당 초선 57명과 재선 18명 등 75명의 의원들이 선거패배에 따른 여권 전면 쇄신과 함께 10일 구성되는 비상대책위에 참여, 여권 쇄신을 강력히 주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와중에 김문수 경기지사가 <조선일보>와 인터뷰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중심 폐쇄적 인사스타일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만큼 청와대 참모진 개편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김 지사는 “대통령께서 중앙 집중식으로, 손 위에 놓고 일을 처리하려는 것 같다”면서 “더 많이 분권해야 하는데 대통령 주변에 각 분야 최고 전문가들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키도 했다.
그는 또 “내가 직접 말하긴 그렇고,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지적하고 있는 것 아니냐. 측근 중심의 폐쇄적인 인사스타일이 문제라고…”라고 언급하며, 청와대 참모진을 겨냥키도 했다.
한편 청와대 일각에선 7.28 재보선과 한나라당 전대 등 정치일정 등을 이유로 청와대 개편이나 개각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며 빨라야 8월에 인적쇄신이 이뤄질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청와대 개편과 개각에 대한 시기-규모 등은 정해진 바 없다”며 “여러 의견을 듣고 정치일정 등을 감안해서 대통령이 최종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만 말했다.
반면 정치권에선 서울 은평을을 비롯해 전국 8곳에서 실시되는 이번 7.28 재보선에도 한나라당의 고전을 예상하며, 여권 쇄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보고 있어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