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족부활이 미치는 한나라 차기당권 해석
- 지방선거 완패, 흔들리는 한나라… '차기 전당대회'둘러싼 역학관계
6·2지방선거 결과, 페족(廢族·조상이 큰 죄를 짓고 죽어 벼슬을 할 수 없게 된 자손)으로 치부되던 친노세력이 화려한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이들의 부활은 벌써부터 여당의 차기 당권(6월 말 또는 7월 초 전당대회)구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먼저 이번 선거에서 단독 중앙 선대위원장으로 승부수를 던진 정몽준 대표가 참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를 표해 사실상 차기 당권도전은 물거품이 됐다. 나아가 향후 정치행보에 상당한 제약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또 한 명의 당권주자로 꼽히는 박근혜 전 대표는 선거 과정에서 당의 수차례 지원유세 요청에도 불구하고 끝내 자신의 지역구인 달성군에 내려갔다.
당내 일각에서는 박 전 대표가 명예 선대 위원장 등의 자리를 수락해 선거 지원에 나섰더라면 참패는 면했을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더욱이 박 전 대표가 달성군수 선거에 전력을 다했지만 그마저도 패배로 끝난 것은 적지 않게 그의 발목을 잡고 있다.
하지만 위기의 당내 현실 속에서 박 전 대표를 대신할 만한 중량감 있는 인사가 눈에 띄지 않는 점은 그의 '역할론'에 무게가 실리는 대목이다.
즉 선거만 보더라도 당내 인사중 박 전 대표 만큼의 전국적인 '바람'을 일으킬 만한 인물이 없는 것이 사실로 이는 실질적으로 박 전 대표의 정치적 영향력이 남다름을 의미하는 동시에 당내 인물난이 심각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박 전 대표가 여권주류와 갈등관계를 어느 정도선까지 해소할 수 있느냐의 여부가 그의 등장시기를 좌우할 전망이다.
7·28 재·보선에서 은평(乙) 출마로 가닥을 잡은 이재오 국민권익위원장의 발걸음은 무겁다. 선거 결과 민심이반 현상이 드러났고 앞으로 이를 다독이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한 것이 정해진 수순.
이런 비상 상황을 비춰볼 때 친이계 강성인사로 분류되는 이 위원장이 당내 역학관계의 중심으로 진입하는 것은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만만치 않게 제기되고 있다.
게다가 이 위원장이 재·보선에서 성난 민심이반의 현상을 뚫고 당선될 수 있을지 여부도 불투명하다.
여기에 중도성향 의원들을 중심으로 외부인사 영입론이 불거지고 있다. 이들은 위기의 당을 수습할 인사가 마땅치 않은 점과 친이-친박계 간의 화합 차원에서도 특정 계파에서 당권을 맡는 것 보다는 중도적 입장의 인사를 영입해 일단 사태를 진정시키자는 주장을 펴고 있다.
이에 대해 소장파 의원들은 부정적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당 핵심 관계자에 따르면 소장파들은 선거 결과에 따라 당의 '체질개선'과 '물갈이'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강하게 피력하고 있으며 사태 수습의 '키'를 잡기 위해 당 전면에 나설 계획에 착수했다는 전언이다.
당내외에는 이들이 차기 전당대회에 출마, 당을 접수(?)해 차기 대선구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려하고 있다는 '설'이 돌고 있다.
한편, 나란히 재선에 성공한 오세훈 서울시장과 김문수 경기지사의 차기 전당대회 '역할론'도 주목을 받고 있다. 두 사람 모두 친노세력의 핵심인사를 꺾고 당선돼 힘이 실린 상태.
이 두 사람의 직간접적 지원이 누구를 향하느냐에 따라 당권의 향배를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의 '선택'에 정가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프런티어타임스 이민기 기자mkpeace21@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