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지 않는 '盧風'에 몸단 정세균
- 정세균의 천안함 사태 '북한책임 인정'은 전략 수정?
6·2 지방선거가 D-7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정세균 민주당 대표가 천안함 사태와 관련해 뒤늦게 '북한 책임'을 거론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 대표는 지난 25일 천안함 사태와 관련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현재 상황에서는 (북한 어뢰 공격이라는) 정부 발표를 인정한다"며 "천안함 사태의 1차적 책임은 북한에 있다. 북한의 소행이 맞다면 확실한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정 대표의 '북한 책임'을 인정한다는 발언은 20일 민군 합동조사 결과 발표 이후 처음이다. 물론 '국회 천안함 진상규명 특위에서 조사 결과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단서를 달기는 했다.
그가 이같이 '북한 책임'을 거론하는 것은 천안함 침몰사건이 북한의 소행으로 밝혀지면서 '노풍'(노무현 바람)이 가라 앉고 동시에 '정권 심판론'이 힘을 받지 못하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즉 민주당은 노무현 서거 1주년(23일)을 기점으로 친노 좌파세력의 대결집을 기대했지만 지금까지 '노풍'은 커녕 미풍도 불지 않는 상황.
야권은 23일을 꽤 기대(?)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1주기를 맞아 경남 김해 봉하 마을에는 정 대표와 정동영·한광옥·김근태 공동 선대위원장, 한명숙(서울), 유시민(경기), 안희정(충남), 이광재(강원) 등 친노 광역단체장 후보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이 자리에서 정 대표는 "멀쩡한 전직 대통령을 죽음으로 내몰고도 이명박 대통령은 사과 한마디도 없었다. 오히려 지방선거에서 전 정권 심판론을 들고 나왔다"며 "부끄러운 줄 모르는 이 정권과 한나라당을 지방선거에서 심판하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관련, 민주당은 이날 각 지역의 후보들이 현장유세에서 음악을 틀지 않고 유세 차량에 노 전 대통령의 영정 사진을 부착하는 것으로 '노풍'확산을 꾀했다.
앞서 친노 진영에선 8일 성공회대에서 열린 콘서트에서 여균동 영화감독(색소폰)·이정희 민주노동당 의원(보컬)·정연주 전 KBS 사장(기타)·조기숙 전 청와대 홍보수석(드럼) 등이 참여해 '노풍'을 띄우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이처럼 민주당의 정 대표와 친노 진영은 '노풍'을 지방선거의 화두로 끌어내기 위해 무던히 애를 썼다.
하지만 정 대표와 친노 진영이 그토록 기다리는 '노무현 바람'은 불지 않고 있다.
이를 입증하듯 이번 지방선거 초대 승부처인 수도권 3개 광역단체장선거 여론조사에서 한나라당 후보들이 모두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일보 26일자에 따르면 한국일보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24일 전화 여론조사 한 결과, 서울시장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오세훈 후보 47.7%-민주당 한명숙 후보 31.0%, 경기도지사 선거에서도 한나라당 김문수 후보 45.4%-국민참여당 유시민 후보 34.9%를 기록했다.
인천시장선거 역시 한나라당 안상수 후보가 43.2%, 민주당 송영길 후보가 33.0%의 지지율을 기록해 두 후보의 격차는 10.2%포인트였다.
25일 정 대표가 천안함 침몰사건에 대해 '북한 책임'을 인정하는 발언은 이런 상황을 감지하고 나온 것으로 보인다. 즉 선거전략의 수정이 필요했다는 얘기다.
어쨌든 정 대표의 뒤늦은 지방선거 전략 수정이 어떤 결과를 낼지는 두고 볼 일이다.
<프런티어타임스 이민기 기자 mkpeace21@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