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北, 도발 못하도록 단호 대응"
- NSC 긴급회의 주재 "UN헌장-정전협정 위반… 한 치도 실수 없어야"
이명박 대통령이 천안함 사태와 관련해 강한 어조로 북한에 대한 응징의지를 천명하고 관계부처에는 빈 틈 없는 대응을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21일 청와대에서 긴급 소집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한 자리에서 “북한이 다시는 무모한 도발을 자행할 수 없도록 해야 한다”면서 “정부가 중심을 잡고 한 치의 흔들림 없이 북한에 대해 체계적이고 단호히 대응해야 한다”고 각 부처 관계자에 지시했다.
특히 대통령은 “심각하고 중대한 사안인 만큼 대응하는 모든 조치는 한 치 실수가 없고 신중해야 한다”며 “국민들이 휴식을 취하는 늦은 시간에 북한으로부터 기습을 당한 것이다. 이는 군사적 도발행위이며 UN헌장과 정전협정, 남북 기본합의서를 위반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은 또 “우선 군사적 측면과 남북관계의 오늘과 내일, 대외적으로 국제적 측면과 우리 사회, 모처럼 회복세에 있는 경제에 어떤 영향이 미칠지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논의하기 위해 모였다”면서 “논의사항을 토대로 국민과 국제사회에 담화를 발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이날 오전 8시부터 11시까지 약 3시간 걸쳐 NSC회의가 진행됐는데 천안함 사태에 따른 국제공조 강화 및 우리군의 대비태세, 남북관계, 국가신인도 문제, 사이버테러를 포함해 북한의 도발위협에 대비한 국가대비태세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회의엔 정운찬 총리와 외교부 유명환, 통일부 현인택, 국방부 김태영 장관, 국정원 원세훈 원장 및 행안부 맹형규, 재정부 윤증현 장관을 비롯해 정정길 대통령실장, 이희원 안보특보, 윤진식 정책실장, 박형준 정무수석, 이동관 홍보수석, 이상의 합참의장이 참석했다.
참고로 이명박 대통령이 NSC를 소집한 것은 4번째로 2008년 7월 금강산 관광객 피격사건과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따른 종합대책 논의를 위해 처음 소집됐으며 작년 4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당시와 같은 해 5월 북한의 2차 핵실험이후 3번째 회의가 소집됐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