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오의 승부수 청렴?..이번엔 "별도 사정기관"
- "평가와 감시 기능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 필요"

▲ 이재오 국민권익위원장
연일 '청렴'을 외치고 있는 이재오 국민권익위원장은 최근 '검사 향응.접대 의혹' 사건을 "우리 사회에 만연한 도덕 불감증, 지나친 온정주의, 접대문화가 가져온 결과"라고 진단하며 "별도의 사정기관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10일 발간된 정부 발행 주간지 '위클리 공감'과의 인터뷰에서 이 같이 밝히면서 "그래야 평가와 감시 기능이 제대로 작동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권 실세로 분류되는 이 위원장의 이 같은 언급은 최근 정치권에서 거론되고 있는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도입에 상당한 힘을 실어줄 것이란 관측이다.
이와 함께, 이 위원장이 '청렴'에 대한 의지를 대외적으로 강조, 이와 관련한 자신의 이미지를 견고히 만들어 가려는게 아니냐는 분석도 흘러나오고 있다. 차기 대권주자로도 언급되는 이 위원장이 '청렴'을 하나의 승부수로 설정했다는 것이다.
이 위원장은 이와 관련, "이명박 정부 임기 내에 우리나라의 부패 정도를 지금보다 20%만 줄여도 큰 성과"라며 "우리나라의 국가청렴도 지수가 현재 39위에서 세계 30위로 올라섰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더불어 "사회가 바로 서려면 공무원들 스스로 청렴 의무를 다해야 한다."며 "공무원 시험에 청렴과목을 신설하고 비리를 저지르면 공직생활을 할 수 없고 승진할 수 없다는 인식을 심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위원장은 "정부 예산을 사용하는 모든 기관이 평가를 받아야 하며, 고위공직자와 더불어 인허가 지도.단속 등 주요 민원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을 개인별로 평가하는 방안도 면밀히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프런티어타임스 윤종희 정치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