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朴' 하차한 김무성… 화합카드로 부상?
- 親朴 좌장으로 불렸던 김무성, 이젠 親李가 적극 지원
한때 친박계의 좌장으로 불렸던 김무성 한나라당 의원(4선·부산 남구을)이 지난 26일 차기 원내대표 경선 출마를 밝힌 가운데 친이계가 적극 지원하는 양상을 띄고 있어 그 '의미'를 두고 여러 해석이 오가고 있다.
27일 원내대표 경선을 준비하던 친이계 정의화 의원(4선·부산 중·동구)이 불출마를 선언했다.
정 의원은 이날 "진정한 당 화합 차원이라면 '비주류 중에서도 비주류'를 자처한 김무성 의원이 출마하는 것이 낫겠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면서 "그가 원내대표가 된다는 자체만으로도 당의 화합 지수는 분명 상승할 것"이라며 김 의원을 한껏 치켜세웠다.
여기에 친이 직계인 정두언 지방선거 기획위원장도 같은 날 언론 인터뷰에서 "김 의원은 당내 화합과 국정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추진력을 갖고 있다"며 "원만하고 무난하게 당의 원내대표로 선출될 것"이라면서 김 의원에게 힘을 실어 주었다.
당내 소식통에 따르면 청와대와 친이 핵심 주류측에서 '김무성 원내대표-고흥길 정책위의장 카드'를 밀고 있다는 전언까지 있다.
이같이 핵심 주류측이 '김무성 카드'를 지원사격 하는 이유는 6·2 지방선거 이후 친이-친박계가 세종시 수정안 처리와 개헌 논의 등으로 대립할 가능성이 높은 점을 고려했다는 것이 정가의 분석이다.
특히 이명박 정권이 후반기 국정 과제로 예고한 개헌 논의는 차기 권력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여-여, 여-야간의 첨예한 대립이 전망되는 인화성 강한 사안으로 보인다.
이처럼 당내 갈등의 소지를 내재한 개헌 논의에 대해서도 친이-친박계는 입장차가 다르다. 이명박 대통령과 친이 주류측에서는 '이원집정부제'나 '내각제' 등 권력 분산형 개헌을, 박근혜 전 대표는 '대통령 4년 중임제'에 무게를 두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당 일각에서는 개헌 논의를 하는 과정에서 세종시 갈등 수위를 넘어선 계파간 대립 가능성을 점치며 벌써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흘러 나오고 있다.
중립파 의원은 "당이 개헌 논의를 하는 순간 친이-친박계는 극단으로 갈 수 있다"고 말한 뒤 "개헌은 곧 차기 권력인데 어느쪽도 이 문제에서 밀리려 하지 않을 것"이라며 "세종시 문제로 깊어진 갈등의 골이 심화·증폭되는 심각한 위기의 순간이 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따라서 여권 주류에서는 이처럼 당내 갈등이 폭발할 수 있는 정치 현안을 친박계에 일정부분 영향력을 갖고 있는 김 의원을 통해 조정자의 역할을 맡기는 방법을 택했다는 것.
하지만 김 의원이 원내대표로 선출 되더라도 여권 주류에서 기대하는 조정자의 역할은 미미할 수 밖에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가 출마기자회견에서 밝힌 대로 원내대표 출마와 관련해 박 전 대표나 친박계 핵심 의원들과의 사전 상의를 거친 것이 아니다. 이것은 친박계에서 김 의원을 지지하지 않을 가능성을 높여주는 대목이다.
또 친이계에서 당장은 김 의원을 원내대표로 밀어 주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계보가 달랐던 그를 언제까지 지원할지는 두고 볼 일이다.
어쨌든 내달 3일 치뤄지는 원내대표 경선은 김 의원에게 힘이 쏠리며 대세가 기운 감이 없지 않으나 친박계에서 하차한 그의 행보가 어느 선까지 진출(?)할 수 있을지 정가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프런티어타임스 이민기 기자 mkpeace21@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