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안중근 의사 유해 모셔오겠다"
- "나라 어려울 때 국가-민족위해 몸 바친 안중근 의사정신 깊이 추모"
이명박 대통령이 안중근 의사 서거 100주년을 맞아 안 의사의 유해발굴 및 송환을 위해 취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26일 청와대에서 열린 확대비서관회의에서 “오늘은 안중근 의사 서거 100주년이 되는 날이다”고 하면서 “안중근 의사는 나라가 어려울 때 국가와 민족을 위해 몸 바치신 애국자시며 세계와 동아시아 지역의 화합과 평화를 이야기한 시대의 선각자셨다”고 말했다.
특히 대통령은 “함께 안중근 의사의 숭고한 정신을 깊이 추모하자. 늦었지만 일본은 물론 중국과도 협조하는 등 유해를 모셔올 수 있는 가능한 모든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은 이어 “‘내가 죽은 뒤 나의 뼈를 하얼빈 공원 곁에 묻어 두었다가 국권이 회복되거든 고국으로 옮겨 달라’고 유언했는데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 뜻을 이뤄드리지 못하고 있다”며 “부끄럽고 죄송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대통령으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공언했다.
한편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우리가 얻은 가장 값진 소득이 있다면 자신감”이며 “세계를 놀라게 한 우리 젊은이들과 함께라면 우리가 이루지 못할 것이 없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확인했다. 세계도 그런 우리를 더욱 주목하고 있다”이라고 찬사를 보냈다.
이 대통령은 또 “요즘 젊은이들은 확실하게 과거와 다르다. 중요한 것은 이들을 어떻게 잘 길러 마음껏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가 하는 것”이라고 전제한 다음 “장점은 더 길러주고 단점은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면서 청년들에 대한 기대감을 표명하기도 했다.
아울러 대통령은 “정책부터 젊은이들의 수준에 맞게 개발해야 한다. 입안부터 그들을 참여시키고 홍보도 젊은이에 맞는 방식을 찾아야 한다. 기존방식을 답습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대통령은 이어 “청와대도 과감하게 젊은 사람들과의 통로를 가져야 한다”며 “필요한 인력을 특별채용 해서라도 그들의 아이디어와 특성을 반영하는 방안을 모색하라”고 주문키도 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선 ‘글로벌경쟁시대에 즈음한 젊은세대 잠재력 활용방안’이란 제하로 서울대 소비자학과 김난도 교수가 주제발표를 했으며, 비서관들의 토론이 이어졌는데 김 교수는 과거와 달라진 젊은이들의 특성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문화 이미지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