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연대, 한나라당과 합당론에 '내홍'
- 좌파연대 맞선 보수진영 단결론 비등하나 진척 없어 내부불만 터져
미래희망연대(구 친박연대)가 한나라당과 물밑 합당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심각한 내홍에 휩싸였다.
19일 정치권에 따르면 최근 민주당을 중심으로 민노당, 창조한국당, 국민참여당 등 좌익블록이 중간심판론을 앞세운 연합공천을 추진하는 가운데 이에 맞선 보수진영의 단결차원에서 한나라당과 희망연대간 합당추진론이 재부상한 것으로 파악돼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특히 양당간 합당추진을 위해 한나라당 친박계가 앞장선 것으로 파악되며 이날 여의도 당사에선 합당추진에 반대하는 당원들이 격한 반대구호를 외치며 점거 농성을 시작키도 했다.
이에 대해 미래희망연대 김세현 사무총장은 당차원의 입장을 밝히며 설득에 나섰지만 서청원 전 대표의 사면을 전제로 한 합당추진이 지연되면서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앞서 지난 17일 한나라당 이경재 의원은 “2개월전 최고중진 비공개회의에서 친박연대와의 합당 추진을 제안했는데 그 뒤로 어떻게 됐는지 중간상태인 것 같다”며 합당을 공론화했다.
이 의원은 또 “최근 당명을 바꾸고 지방선거 준비에 나선 친박연대가 한나라당에 엄청난 치명상을 줄 수 있다”며 양당간 합당의 당위성을 주장한바 있다.
아울러 이 의원은 “(서청원 전 대표의 사면 등) 합당조건도 그리 까다롭지 않고 계파간 권력구조상 플러스, 마이너스도 별로 없다. 이것이 한나라당을 구하는 길”이라고 강조키도 했다.
반면 친이계에선 합당론이 당내 친박계 세력확산으로 이어지지 않을지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정치적 의도가 깔려 있는 것으로 보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실제로 한 친이계 관계자는 “선거를 앞두고 세력간 이합집산은 충분한 가능성이 있긴 하지만 정당끼리 합당하는 것은 지분갈등 등 난제들이 있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6.2 지방선거 체제전환도 못한 채 합당도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미래희망연대가 앞으로 어떤 선택을 내릴지, 내홍을 극복해 18대 총선당시 돌풍을 재연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