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親李-親朴 '공천갈등' 이제 시작?
- 친박 "서울·부산 의혹" vs 친이 "바꿀 시간 없어"

한나라당이 15일 최고위원회의에서 6·2 지방 선거를 대비한 11개 시·도당 공천심사위원회 구성안을 논의끝에 서울, 경기, 부산시당의 안을 반려했다.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선 상정된 11개 시도당 공심위 구성안 가운데 대전·충북·대구·경남·전남·전북·광주·제주 등 8개 지역의 공심위 구성안만 통과시켰고 서울, 경기, 부산 등 3개 지역은 반려했다. (※ 인천, 강원, 충남, 경북, 울산 등 5개 시도 공심위 구성안 미상정)
조해진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서울, 경기, 부산시당의 구성안이 보류된 것은 공심위 구성의 절차상의 문제와 일부 공심위원 선정에 이의 제기가 있기 때문"이라며 "반려된 3곳과 미상정 5곳 등 8곳의 공심위 구성안은 가급적 17일까지 의결하자는 결론을 냈다"고 설명했다.
덧붙여 "최고위원 가운데 특정인이 공심위원장으로 선출된 것을 문제 삼지는 않았다"고도 밝혔다.
앞서 서울시당은 11일 운영위원회에서 친이계의 강력 반발속에 친박계의 지지를 받은 이종구(강남갑) 의원을 공심위원장으로 선출했다.
이에 14일 친이계를 대표해서 정태근 의원이 "절차상의 문제가 있다. 상당수 당협위원장들이 위임의사를 철회했는데 시당위원장이 구성안을 의결한 것은 명백한 당규 위반"이라고 반발한 바 있다.
또한 경기도당 공심위 구성안은 일부 영입 공심위원에 대한 적절성 여부가 보류의 원인이 된 것으로 알려졌고, 부산시당의 경우는 초선의원과 외부인사가 공심위 부위원장을 맡았는데 재선의 김정훈 의원이 공심위원에 선정된 것은 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각각 보류됐다.
하지만 친박계 핵심 의원은 "친박이 공심위원장을 맡기로 한 서울시당과 부산시당에 제동이 걸린 것이 이상하다"면서 "문제점을 찾고자 한다면 다른 시·도당에서도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며 의혹의 시선을 보냈다.
이에 대해 친이 직계 의원은 "17일까지 시간이 얼마남지 않았다. 기존 구성안을 바꿀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는다"며 "경기도당도 반려돼지 않았느냐. 친박계가 사사건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한 중진 의원은 "지금 밥그릇 싸움할 때가 아니다. 세종시 여파로 지방선거가 만만치 않은 것을 양계파가 잘 알면서 분열로 비치는 행동을 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공심위 구성 이후 공천을 둘러싼 양계파의 갈등이 더 심해질 것"이라고 우려섞인 전망을 내놓았다.
<프런티어타임스 이민기 기자 mkpeace2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