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텃밭 영남권 공천' 親朴이 잡았다?
- "한 텃밭지역에 '세' 보강의 기회 잡아… '실익'차지"
한나라당 16개 시도당의 공천심사위원회 구성이 윤곽을 드러낸 가운데 친박계가 서울·인천, 영남권 등의 공심위원장을 차지했다.
12일 16개 시도당에 따르면 친이계가 공심위원장으로 선정됐거나 유력시되는 시도당은 6곳, 친박계는 5곳, 중립은 3곳, 미정은 2곳으로 나타났다.
친이계를 공심위원장으로 확정한 시·도당은 경기(원유철 의원), 울산(김기현 의원), 제주(부상일 도당위원장) 등 3곳이며 대전시당, 충북도당, 광주시당도 친이계 시·도당위원장이 공심위원장을 겸직할 가능성이 유력하다.
친박계가 공심위원장을 확정한 시·도당은 부산시당, 대구시당, 전북도당 등 3곳, 유력 지역은 인천시당과 경북도당 등 2곳이다.
부산시당 공심위원장에는 박근혜 전 대표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유기준 의원이 공심위원장을 맡게 됐고, 대구시당의 경우 서상기 의원이 대구시장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공심위원장을 맡게 됐다.
전북도당은 친이계의 유홍렬 도당위원장이 지방선거 출마로 친박계로 분류되는 김종훈 부안·고창 당협위원장이 공심위원장으로 확정됐다.
경북도당은 내주중 지역 의원 회합을 통해 친박계 의원으로 공심위원장을 선정할 가능성이 높다. 수도권의 인천시당은 시당위원장인 이경재 의원이 공심위원장을 겸직할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중립으로 분류되지만 친박계와 가까운 이주영 의원이 경남도당 공심위원장을 맡았으며, 서울시당 역시 친박계가 밀어 붙인 이종구 의원이 공심위원장으로 결정됐다.
이에 대해 친이계 핵심 의원은 "한나라당의 전통적 지지기반인 대구·경북, 부산·경남의 공심위원장이 친박계 수중으로 간 모양새"라며 "공심위원장이 다른 공심위원들은 배제하고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은 아니지만 직·간접적으로 공천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리이기 때문에 문제가 간단치 않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반면 친박계 의원은 "친박계가 대구·경북, 부산·경남에서 최소한 공천에 손해를 보는 일은 없게 됐다"며 "친박계가 지방선거에서 당의 전통적 지지기반을 중심으로 세를 모으면 차기 대선도 해볼 만 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충남도당은 중립성향인 이훈규 도당위원장이 공심위원장을 겸한다는 전언이며 강원도당은 내주 중으로 중립성향의 황영철 의원과 친이계 권성동 의원 중에서 공심위원장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전남도당(김기룡 도당 위원장) 역시 공심위 구성이 늦어져 내주에 완료한다.
이와 관련, 한 정치 컨설팅 관계자는 "6·2 지방선거 공천에서 친박이 '실익'을 차지한 것 같다"고 말한 뒤 "특히 친박계가 한나라당 '텃밭'지역에 세를 더 보강할 수 있는 기회를 잡은 것은 의미심장한 대목"이라며 "MB집권 2년 남짓임을 감안할 때 친이계의 정치력이 무력한 것 아니냐"고도 지적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이민기 기자 mkpeace2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