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0-03-08 13:21:56
기사수정
지난 5일 청와대 민정수석실, 검찰, 경찰, 감사원, 국무총리실의 감찰 및 공직기장 업무 담당자가 모여 선거 관련 비리를 비롯해 지방 토착비리, 교육비리, 권력형 공직비리 등 4대 비리의 예방과 척결을 대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 고위간부가 승진을 위해 청와대에 수천만 원대의 로비를 했다는 의혹이 나오는 마당이라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지는 격'이 아닌지 의심스럽다.

집권 2년 동안 권력의 하수인을 자처하며 비판세력 탄압에 혈안이 됐던 사정기관들이 앞다투어 권력형 비리 등 4대비리를 척결하겠다니 의심할 수 밖에 없는 것 아닌가.

지난 2년간 대통령 친인척, 청와대 핵심 관계자, 측근, 한나라당 정치인과 관련한 비리의혹에 사정기관들은 한없이 관대한 처분으로 일관해 왔다.

특히 청와대발 권력형 비리사건는 실무자 개인차원의 사건으로 치부하거나, 솜방이 징계로 그친 경우가 한두 번이 아니다.

그런 청와대가 사정기관대책회의를 열어 비리 예방과 척결 대책을 논의했다니 누가 믿겠나.

차라리 야당과 비판세력을 탄압하기 위해 회의를 열어놓고 포장만 그럴싸하게 바꿔 홍보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으로부터도 자유스럽지 못할 것이다.

청와대가 공직기장을 바로잡고 4대 비리를 척결하겠다면 막말로 국민갈등과 국론을 분열시킨 이동관 홍보수석을 경질하는 것이 순서이고, 청와대 측근 비리부터 제대로 수사해야 한다.

‘말 따로 행동 따로’인 이명박 한나라당 정권은 ‘콩으로 메주를 쑨다’고 해도 믿지 못할 정부라는 것이 국민의 세평임을 명심하라.

2010년 3월 8일

민주당 부대변인 김현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656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