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수희, 친박 반발에 "2005년 의총이 더 문제"
- "정상적 당론채택이었다면 왜 8명만 찬성했나?"
친이계 진수희 의원이 친박계가 세종시 의원총회와 관련, '이미 토론의 결론을 내놓고 들러리를 세운는 것'이라며 반발하는 것에 대해 발끈했다.
진수희 의원은 17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그런식으로 얘기하면 저는 2005년, 소위 지금 원안이라 불리는 수도분할법안이 당론으로 채택되는 과정에 대해서 이야기를 안 할 수가 없다."고 포문을 열었다.
진 의원은 "2005년 2월 23일에 의총이 열렸고 거기서 당론표결이 이루어졌는데, 37분이 반대했고 46분이 찬성했다."면서 "당내 120석 중에 반대하시는 분들이 그 때 농성 중이어서 참여하지 않은 가운데 이루어진 표결이니까 당연히 반대하는 분들이 저평가되는 그런 당론채택의 과정이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또 "만약에 정상적인 당론채택의 과정이고 결과였다면 왜 일주일 후에 있었던 3월 2일 국회 본회의 과정에서 한나라당의 당론으로 채택 된 법안에 불과 120명중에 8명만 찬성표를 던졌는가?"하고도 따졌다.
진 의원은 이어 "바로 그 법처리가 이루어진지 한 달 만인 4월 7일에 저희 120명 중에 57명이 행복도시 건설특별법을 폐지하자는 법안에 서명을 했다."며 "같은 날 이 수도분할법안에 대해서는 국민투표가 필요하다, 그래서 국민투표촉구를 결의하는 결의안에 서명하시는 분들이 120명 중에 89분이나 계셨다."고 강조했다.
그는 더불어 "(지금의 당론이 정해질 때부터 절차상 하자가) 분명히 있었다."고도 말했다.
진 의원은 그러면서 "이런 원안을 당론이라고 하면서 수정안에 대한 논의를 좀 해보자는 것까지 반대하는 것은 좀 명분이 없다."고 역설했다.
진 의원은 이 자리에서 "2005년 그 때 사실은 수도이전안이 물 건너가면서 새롭게 수도분할합의안이 넘어왔다. 그러면 그것도 당연히 원안에 대한 변경이 되어야 하는데 그것은 새로운 안에 대한 당론채택 과정이었다."며 "그 상황을 그대로 지금 상황에다가 준용을 하면 수정안 자체를 놓고 찬성 반대의 결론을 내야 하는게 아니냐는 생각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진 의원은 진행자가 "당론 변경이면 재적의 3분의 2가 찬성해야 하지만 새 당론 채택은 재적의 2분의 1 출석, 출석 인원의 2분의 1 찬성이어서 훨씬 쉬워지기 때문에 그래서 진 의원님께서 그렇게 말씀하시는 것 아니냐, 이런 의견도 나올 수 있을 것 같다."고 지적하자 "그렇게 볼 수도 있다. 그러나 2005년 상황을 상기시켜보면 이런 문제제기도 할 수 있다, 이런 것이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만약 친박계가 거부한다면 어떻게 되는 건가?"라는 질문에는 "그럴 때의 정치적 부담은 그 분들이 안고 가셔야 되는 것 아니겠는가?"라고 답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윤종희 정치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