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의총 놓고 당내갈등…野 국정조사 추진
- - 친이 "당론수정위한 의총 소집" vs 친박 "보이콧"

설 연휴를 마친 여야가 세종시 문제 등 현안을 놓고 본격 행보에 들어갔다.
한나라당은 세종시 문제 해결을 위한 의원총회 개최여부를 놓고 친이계(친이명박계)와 친박계(친박근혜계)간의 갈등이 일촉즉발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고, 민주당을 포함한 야당5당은 세종시 의혹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요구서를 제출했다.
당내 친이계 핵심인 정두언·정태근 의원 등은 친이계 의원들과 소장개혁그룹인 '통합과 실용', '민본 21'소속 일부 의원들의 서명을 받아 17일께 세종시 변경을 위한 의원총회 소집요구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친이계의 이같은 움직임은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12일 청와대에서 열린 '한나라당 신임 당직자 초청오찬'에서 "개인들의 생각이 달라도 당에서 정해지면 따라가야 민주주의"라며 "마음이 안 맞아도 토론을 해서 결론이 나면 따라가야 한다"며 당론변경 절차에 서둘러 줄 것을 주문한 데 따른 것이다.
정두언 의원은 16일 오전 SBS 라디오 '전망대 서두원, 최영주의 SBS 전망대'에 출연, "오늘 준비를 해서 내일(17일) 아침에 의원총회 소집요구서를 제출할 생각"이라며 "개인적으로는 이번주 안에 결론이 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친박계가 의총 자체에 반대하고 있는 것에 대해 ‘억지정치’라고 비판한 뒤, “지금까지 당내에서 어떤 주요 법안이 제출되면 항상 논의를 했는데 이 문제를 가지고 새삼스럽게 안 된다는 이유를 모르겠다”며 “민주국가에서 민주정당에서 어떤 논의도 가능하고 당헌당규상 당론을 정하고 또 변경하는 절차를 규정해놨다”고 말했다.
안상수 원내대표도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당내 의원들이 요건을 갖춰서 의총 소집을 요구하면 받아들여서 여는 것이 내 의무"라고 말해 당헌·당규에 규정된 절차대로 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할 경우 이를 수용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친박계는 친이계의 당론변경 의총 소집 움직임에 발끈하며, '의총 보이콧' 불사 방침을 밝혔다.
친박계의 대변인격인 이정현 의원은 “의총이 됐든 어떤 형태가 됐든 우리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어떠한 토론이라도 참석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면서도 “다만 이미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서 결정해놓은 당론(세종시 원안)을 백지화하거나 변경하는 데는 절대 동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지난 수개월간 정운찬 국무총리를 비롯해 정부가 다 나서서) 이미 정해져있는 당론을 (수정안으로) 뒤집는다면 앞으로 또 당론이 뒤집어질 수 있는데 이것이 (친이계가 말하는)민주적인 것이냐”고 반문했다.
한편, 민주당과 자유선진당 등 야 5당은 세종시 수정안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정치공작과 여론조작, 기업특혜와 정경유착 의혹 등에 대해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세종시 의혹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요구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국무총리 임명을 청와대가 정략적으로 활용했다는 의혹과 삼성 등 대기업의 세종시 투자유치가 수정안 발표 이전에 이미 결정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 철저히 조사해 밝힐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칸투데이 전형만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