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李 속도전 의총소집… 親朴 밀어붙이기 반발'
- 친이 칼자루 쥐어 당내 통과가능… 역풍 가능성 높아
한나라당 친이계가 세종시 문제를 돌파하기 위한 '속도전'에 나섰다.
친이계 핵심인 정두언 의원은 16일 라디오 방송에 출연, "친박계가 의원총회와 당론변경 절차를 거부하는 것은 민주주의에 대한 부정이자 원칙과 신뢰에 어긋나는 일"이라며 "세종시 당론변경과 관련해 의총 소집요구서를 17일 제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정몽준 대표는 당내 중도개혁 소장파 의원 모임인 `통합과 실용' 주최로 열린 세종시 토론회에서 인사말을 통해 "문제를 제기하는 측이나, 덮어두자는 측이나 궁극적으로 대화를 안할 수는 없지 않느냐"고 밝혀 의총을 통한 세종시 토론의 필요성을 시사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안상수 원내대표는 16일 국회 원내대책회의에서 "의원들이 당헌에 의거해 의총 소집을 요구하면 받아들여 의총을 열겠다"고 밝혔다. (당헌- 재적의원 10분의 1이상(17명 이상)이 요구시 원내대표 의총 소집할 수 있음)
반면 이날 박근혜 전 대표의 대변인 격인 이정현 의원은 "세종시 원안은 민주적 절차를 거쳐 결정한 당론"이라며 "친이계가 세종시 원안을 백지화하기 위해 밀어붙이기식으로 당을 들러리 세우고 있다"고 강력 반발했다.
현재 한나라당 재적의원 169명 중 '3분의 2'선인 '113'명의 지지를 받으면 당론을 원안에서 수정안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당내 계보별 분포는 친이계가 90~105명, 친박계는 45~55명 선이다. 그외 20~30명은 중도로 분류된다.
이와 관련, 정치권 일각에선 친이계가 수 우위의 구도를 바탕으로 의총을 소집후 세종시 관련 토론을 거친 뒤 친박계의 반대가 있더라도 수정안을 표결에 부쳐 당론변경을 하겠다는 내부 방침이 정해졌다는 설이 돌고 있다.
하지만 친이계가 밀어붙여서 당내 통과는 될수 있어도, 정작 국회에 상정되었을 때 역풍이 우려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은 국면이다.
<프런티어타임스 이민기 기자 mkpeace2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