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0-02-11 11:36:05
기사수정
청와대가 이명박 대통령의 차기 후계구도 및 세종시 논란에 대한 지적을 맞받아친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발언에 해명과 사과를 요구했다.

특히 청와대 이동관 홍보수석은 11일 “박 의원의 발언에 대해서는 적절한 해명과 공식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이를 요구하는 바이다”라면서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기도 했다.

이 수석은 이어 “앞뒤 선후관계도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채 분초를 가리지 않고 국정을 위해 뚜벅뚜벅 일하는 대통령을 폄하하는 발언을 했다”고 전제한 뒤 “뒤에선 ‘원론적 발언’이었다고 해명하는 것 역시 온당치 못하고 적절치 못하고 황당하기만 하다”고 강력 비판했다.

아울러 이 수석은 “잘못했으면 사과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며 “아직 사과의 뜻을 전해온 것은 없다. 최소한 대통령에 대한 기본적 예의는 지켜야 하는 것이 아니냐”고 반문키도 했다.

정가에선 이번 청와대의 사과요구가 박 전 대표의 발언직후 ‘뭔가 오해가 있는 것 같다’면서 논란확산을 경계했던 분위기와는 크게 달라진 것으로 파악하고 그 뒷배경에 주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 이 수석은 이번 논란을 ‘실언 파문’이라면서 최근 언론보도에 대해서도 “솔직히 납득키 어려운 부분이 많다”면서 “대부분의 보도가 ‘박 의원이 발끈하니까 청와대가 곤혹스러워하면서 진화에 나섰다’는 식인데, 논리적으로도 발화를 한 사람이 진화를 하는 것 아니겠느냐. 청와대는 발화한 적이 없는데 왜 진화를 하겠느냐”라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그는 또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서도 “왜 박 의원을 겨냥한 것이냐. 지금 경선을 하는 것이냐”고 반문하면서 “정확하게 전후관계를 정확하게 판단해 (보도해) 달라”고 요청키도 했다.

한편 이동관 홍보수석은 청와대와 박 전 대표측간 소통 부재에 대한 지적과 관련해 “충북 행사에 (친박계) 송광호 최고위원이 참석하지 않았느냐”며 “대화할 열린 태도가 돼있어야 하는 것이지 (세종시)당론변경을 위한 논의도 못하겠다는데 무슨 대화가 되느냐”고 말했다.

이 수석은 또 “미국 링컨 대통령도 원래는 노예제 폐지에 반대했지만 남북전쟁이 시작되고 현실적 필요도 있어서 노예제 폐지를 선언했다”는 사례를 들어가면서 “어떤 경우든 정치지도자의 최종 판단기준은 국가 백년대계를 생각하는 자세”라고 박 전 대표를 비판하기도 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627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