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련된 정운찬 "언어폭력도 폭력" 발끈
- 민주당 이시종 의원 공세에 "발언 가려서 하라"
세종시 수정안과 관련, 여-여, 여-야간의 공방전은 8일 국회 경제분야 대정부질문에서도 계속됐다.
특히 이시종 민주당 의원은 "정운찬 총리는 고향과 국민을 배신했다"면서 "이명박 정부 관계자들의 충청도민과 원안 비하 발언은 충청민 모욕죄, 공갈협박죄 등 6대 범죄에 해당한다"고 비난했다.
이에 정 총리는 평소 모습과 달리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얼마전 국회 폭력 사태로 인한 재판 등으로 사회적 물의가 있었다"며 "발언을 삼가해서 해달라, 언어 폭력도 폭력이다"고 반격, 본회의장이 잠시 술렁거리기도 했다.
'친이' 진수희 의원은 "세종시 원안은 명백한 수도분할법"이라고 다시 한번 강조하면서 "만약 수정안이 부결될 경우 자족도시 기능 백지화 등으로 충청도민에게 막대한 손해가 발생할 것이다."고 역설했다.
진 의원은 더불어 정 총리를 향해 "세종시 원안이 정말로 껍데기가 아닌가?"라고 질문을 던졌고, 정 총리는 "표현이 좀 그렇지만 그렇게 말한 적이 있는 것 같다"며 호응했다.
진 의원은 "역사와 후세는 정 총리를 높이 평가할 것이다."며 정 총리를 격려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같은 당 조문환 의원은 대정부 질의에 앞서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노무현 정권의 세종시는 태생부터 잘못된 정략의 산물"이라면서 "대운하 공약은 안 지켜도 되고, `노무현'표 세종시 공약은 지켜야 하느냐"고 따졌다.
나성린 한나라당 의원은 "노무현 정권은 하향평준화식 분배주의 전략에 촛점을 맞춰 원안을 추진했고, 현 정부는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지역의 발전속도를 높여 그 결과물로 균형을 이루는 전략적 차원에서 수정안을 제시했다"며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원안은 인구분산 효과와 지역균형발전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수정안 추진에 힘을 실었다.
반면 '친박' 현기환 의원은 "원안은 수도권 과밀해소와 균형발전이라는 철학적 명분이 있고, 3정치적 신뢰를 유지할 수 있다"면서 "정부가 진정으로 국가와 세종시의 미래를 생각한다면 원안을 바탕으로 논의를 해야한다"고 반박했다.
임영호 자유선진당 의원은 "수정안에서 밝힌 원형지 공급방식 확대로 총 재정소요액은 34~36조원"이라며, "이런 방식은 재정건전성을 악화시키며, 지나친 재벌 특혜가 아니냐"고 지적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이민기 윤종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