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 이성헌 "'보스의 뜻'에 맹종하는 사람들"
- "세종시가 수도분할이면… 과천, 대전도 수도분할"
'친박' 이성헌 한나라당 의원은 세종시 논란과 관련, "세종시 문제를 토론하게 되면, 의외로 세종시를 '수도분할'이라는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어 놀란다"며 "세종시법이 당초 노무현 정권 때의 수도이전법과 그 출발에서 무관했던 것은 아니지만, 세종시법이 만들어진 과정과 내용은 수도이전법과 전혀 별개의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세종시법과 노무현 정권때 수도이전 공약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차분하게 세종시법을 따져보면 결코 '수도분할'이 아니요, '노무현의 사생아'도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라며 "세종시법은 수도권과밀화 해소와 지역균형발전이라는 대의명분에 입각해 여·야 합의에 의해 탄생한 것"이라고 5일 자신의 홈페이지에 올린 <세종시 벌판에서 만난 양치기 소년들>, 칼럼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세종시가 ‘수도분할’이라면, 과천도 수도분할이요, 정부 제3청사가 대전에 내려가 있는 것도 ‘수도 분할’이라고 해야 하는, 웃지 못할 일이 벌어지게 된다"고도 덧붙였다.
한편, 이 칼럼에서 이 의원은 정운찬 총리와 정몽준 대표를 이솝 우화에 나온 '양치기 소년'에 비유하며 날선 비난을 쏟아냈다. "갑자기 등장한 '세종시 총리'가 세종시 행정부처 이전 백지화의 선봉장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며 "정 총리가 '소신'을 강조했지만, 국민들은 그것이 총리의 소신이 아니라 대통령의 소신이며, 총리는 '세종시 백지화의 소품'이라는 것을 일찍이 눈치챘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또 "정 총리는 정치인들이 '계파 보스'에 휘둘리고 있다고 막말을 서슴지 않았다"면서 "그 말은 스스로의 소신을 접고 보스의 뜻에 충실하고 있다는 뜻인데, 지금 세종시 문제로 '보스의 뜻'에 가장 맹종하고 있는 사람들이 과연 누구인지 궁금하다"며 거듭 맹공을 퍼부었다.
이 의원은 작심한 듯 정 대표를 향해 포문을 이어갔다. "정 대표는 세종시 문제를 언급할 자격도 없지만, 더욱 웃기는 것은 그가 쏟아낸 말들이 너무 허접하다는 것"이라며 "정 대표가 처음 ‘미생지신’이란 고사성어를 동원했을 때, 저는 분노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말을 동원한 것은 박 前 대표가 강조하는 ‘신뢰’의 문제를 일반인들의 사적 약속처럼 호도하려는 비열한(?) 의도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세종시와 관련해 박 前 대표가 강조하고 있는 ‘약속과 신뢰’는 국가운영의 메카니즘내에서 이뤄진 공적 약속의 실천을 의미하는 것이지, 결코 선남선녀의 데이트 약속과는 차원이 다른 것"이라고 역설했다.
또한 "정 대표는 터무니 없는 말을 많이 했지만, 그 중 최대의 압권은 '나라를 위해 희생할 줄 알아야 한다'는 말이었다"면서 "노무현 정권 탄생의 1등 공신으로서, 한나라당에 뼈아픈 좌절을 안겨준 당사자로서 지금 당 대표직을 맡고 있음에 대해 매일 참회의 눈물을 흘려도 부족하다고 생각해야 옳지 않겠느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프런티어타임스 이민기 기자mkpeace2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