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4대강 완성땐 반대자도 지지"
- 4대강 종합상황실 방문해 "공직자-기업들, 역사적 소명의식 가져야"
정가에서 新세종시 발전계획 논란이 한창인 가운데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연말 예산안 대치정국의 빌미가 됐던 4대강 살리기 사업추진에 강한 의지를 밝혔다.
이와 관련, 이 대통령은 19일 과천 정부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한 뒤 4대강 살리기 종합상황실을 찾아 “시작할 때 정치적으로 많은 반대자, 사회적으로도 반대자가 있었지만 완성되고 나면 반대했든 지지했든 간에 모든 사람이 적극적인 지지자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은 이어 “결국 좋은 결과를 만들 수 있다. 자신감을 갖고 지역에서 일하는데 장애가 있으면 설득시키고 하면서 성공적으로 해줬으면 좋겠다”며 “공직자, 기업할 것 없이 특수한 역사적 소명의식을 갖고 해야 한다. 그렇게 한 일은 공사가 끝나도 하자가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대통령은 “기업적 이해관계만 갖고 참여하면 하자가 생길지 모르지만 역사적 소명의식을 가지게 되면 공사 질은 높아져 끝난 뒤 하자가 생기지 않는 사례를 봤다”고 단언했다.
대통령은 또 “이 일도 그냥 끝난 다음 정말 설계를 잘해 겉모양만 명품이 아닌 눈에 보이지 않는 면에서 명품이 되도록 신경을 써야 한다”면서 “끝난 다음해 비가 오고 영향을 받아 하자가 생기면 국민신뢰가 어떻게 되겠느냐. 애쓰고 노력한 보람까지 없어 진다”고 지적했다.
이번 대통령의 발언은 풍수해 피해가 잦은 우리나라 하천환경에서 김대중-노무현 정권을 비롯한 역대정권의 숙원사업이었던 4대강 살리기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함께 4대강 사업에 대한 야당들의 공세가 본격화되기 전에 정당성을 선점하겠다는 포석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대통령은 이날 상황실 방문에서 수질개선과 생태계 보존 및 수량확보 등에 대한 목표를 강조하면서 전국 지역별 일자리 창출에 대한 기대감을 피력, 눈길을 사로잡기도 했다.
따라서 대통령은 4대강 관계자들에 “수질과 생태계 보존문제가 제일 중요하기 때문에 국민들이 걱정하지 않도록 특별히 신경 써야 한다”며 “사업자체가 기후변화에 대비한 목적도 있지만 수질개선, 생태계 보존 및 수량확보가 목표이기 때문”이라고 각별한 관심을 주문했다.
또한 대통령은 “두 말할 여지가 없지만 그래도 국민들과 많은 사람들이 관심 갖고 보고 있기 때문에 소홀하지 않도록 열심히 하라”며 “일하는 과정에 많은 일자리를 만들고 완성된 뒤 고정된 좋은 일자리 만든다는 점이 4대강 살리기사업의 최대장점일 것”이라고 강조키도 했다.
아울러 대통령은 “당면한 일자리를 만드는데도 3,000명이 들어왔다는데 본격적으로 착수하면 일자리 없는 사람들이 우선 일할 수 있도록 하면 좋겠다”며 “실제 일하는 인력이나 장비는 가능하면 지역장비나 사람을 써 지역경제 도움이 되게 했으면 좋겠다”고 의견을 밝혔다.
한편 대통령은 “이 사업은 영남-충청-호남-수도권 등 전국적으로 돼있기 때문에 파급효과가 크다”면서 4대강 살리기 사업이 성공적으로 이뤄져 매년 계속된 풍수해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고용창출 및 경기회복을 위한 역할이 역사적이고 시대적 소명이란 점을 역설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