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통합委 첫 회의…"4대 갈등 해소 착수"
- 北 산림녹화등 추진키로
우리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사회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출범한 대통령 소속 사회통합위원회가 18일 첫 회의를 갖고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위원회는 이날 정부중앙청사 19층 대회의실에서 고건 위원장 주재로 제1차 회의를 열고 올해 4대 분과가 추진할 핵심 사업을 논의한 뒤 세부추진 계획을 의결했다.
먼저 계층 분과의 경우 '용산참사'의 원인이 된 도시재정비사업의 제도 개선, 노블레스 오블리주(사회지도층의 도덕적 의무)를 통한 사회적 책임 강화, 근로빈곤층 대책 등 3개 과제를 다루기로 했다.
이념분과는 보수와 진보가 함께하는 공동프로젝트인 21세기 미래지향적 국정 운영 패러다임 모색, 북한 산림녹화 프로젝트 참여를 추진하기로 했다.지역 분과는 지역주의 해소를 위한 선거제도 등을 개선하고 실효성 있는 갈등 관리·해결 절차의 제도화 등의 사업을 펼치기로 했다.
세대 분과는 청년층과 노년층 등 세대별 일자리 공존 프로젝트, '21세기형 가족 친화적' 일터 만들기, 외국인·결혼 이민자 동행 프로젝트, 새터민 성공 프로젝트 등 4개 사업을 추진한다

▲ 고건 전 총리가 18일 '사회통합위원회' 첫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위원회는 사회통합을 위한 국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기 위해 `국민제안센터'를 운영하고 온·오프라인 모두에서 가능하다. 우수한 정책 제안은 시상도 할 계획이다.
이날 본 회의에 앞서 진보와 보수 진영을 대표하는 김우창 이화여대 석좌교수와 송복 연세대 교수가 주제 발표를 했다.
김 교수는 “갈등이 나쁜 게 아니라 그것을 해결할 토대를 갖지 못하는 게 나쁜 것”이라며 “합리적인 대화의 과정을 통해 갈등을 흡수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념적인 문제도 보수나 진보가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윤리와 사회규범 속에서 서로 토론할 수 있다면 반드시 해결할 수 있는 과제”라고 강조했다.
송 교수는 "사회통합의 핵심은 각 부문의 주체성과 의존성, 협동성, 자율성, 경쟁성을 한 데 묶는 것"이라며 "사회통합은 지도층이 제 몫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도층 싸움 안하기, 지도층 도(道)간 결혼하기, 지도층 소통그룹 만들기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사회통합위원회는 지난해 12월 23일 고건 위원장을 비롯한 민관 위원 48명이 대통령의 위촉을 받으면서 공식 출범했다. <칸투데이 강송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