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인재, 과학기술 가야 희망적"
- UAE원전 수주과정 거론 "30년간 원전 원천기술 못 만들어서야" 지적
이명박 대통령이 앞으로 우리나라의 인재들이 과학기술 분야로 많이 가야 희망이 있다면서 과학기술 강국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9일 정치권과 청와대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위축된 제조 및 건설업 등 국내 산업기반 확충과 강화를 통해 경제회생에 매진해왔는데 최근엔 세계 10위권인 경제강국의 위상에 걸맞지 않는 원천기술 부재 등 취약한 과학기술분야의 문제해결에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대통령은 지난 8일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2010년 과학기술인 신년인사회에 참석, "대한민국 인재들이 과학기술로 갔으면 좋겠다"면서 "그래야 희망이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대통령은 아랍에미리트(UAE) 원자력발전소 건설사업 수주과정의 뒷이야기를 전하면서 원자력 발전에 대한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지 못해 애로가 많았다는 사실을 털어놨다.
대통령은 "이 분야에 종사하는 분들이 원천기술을 빨리 만들어야 한다"며 "우리가 원자력을 30년 했는데 30년동안 원천기술 못 만들고 남의 것을 가져다 했느냐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번 기회에 국민적 지지도 있고 할 때 원천기술을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당부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정치권과 과학계는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과거 산업근대화 당시엔 기술복제와 대량생산을 통한 수출로 경제발전을 이뤘지만 첨단산업을 주력으로 글로벌 경쟁을 펼쳐야 하는 선진화의 시대엔 원천기술이 없인 안 된다는 점을 지적, 강조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실제로 과학기술분야에 정통한 한 정가 관계자는 "대통령이 이번 원전수주에서 원천기술의 부재로 인한 한계를 많이 느낀 것 같다"면서 "제조-건설 등 전통산업기반 확충과 함께 원전 등 첨단산업을 주력으로 삼으려면 원천기술 확보가 필수적임을 강조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물론 IT산업을 중심으로 서비스-유통-관광업 등도 중요하지만 경제발전의 기반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하는 산업체제"라며 "대통령이 틈만 나면 국내기업들에 국내투자를 늘리라고 주문하는 것은 국내에서 확고한 산업기반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한편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 개최와 관련, "모든 분야를 격상시켜야 하는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 2010년은 여러 분야에서 국격을 높일 때"라고 역설하는 등 세계 경제위기 극복과 국제 금융질서 개편과정에 한국의 역할과 글로벌 리더로 국격제고를 주문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더불어 대통령은 최근 각종 공식행사마다 해외원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경제발전의 성공적 모델로 자리잡은 대한민국이 경제 및 군사는 물론이고 저개발국에 대한 지원을 통해 변화된 사회-문화적인 영향력을 확대, 제고해나가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 대목이다.
실제로 이명박 대통령은 최근 "남을 도울 때는 우월감을 가지고 주는 듯하면 안 된다. 물건 줄 때 두 손으로 공손히 남을 도와야 한다"면서 "우리는 새로운 (국제 원조를 통한 글로벌 리더십 제고 및 경제발전의) 모델이 될 수 있다"고 남다른 자신감을 피력, 눈길을 끌기도 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